라인야후 "동남아 사업, 네이버에 이양 계획 없어"…협상 난항 예상

네이버가 소프트뱅크와의 지분 협의를 통해 라인의 동남아 사업을 가져올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라인야후(LY주식회사) 측이 “현시점에서 그럴 예정은 없다”고 밝혔다. 이는 네이버가 소프트뱅크와의 협상에서 많은 난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되는 부분이다.



라인야후는 22일 연합뉴스를 통해 “네이버와 라인플러스 간에는 직접적인 자본관계나 인적 관계가 없다. 라인플러스는 앞으로도 라인야후 산하 기업으로서 대만이나 태국 등 해외 사업을 총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네이버가 라인의 동남아 사업을 가져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라인야후가 100% 소유한 한국 자회사인 라인플러스는 네이버가 라인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2013년 설립한 회사다. 라인플러스는 한국과 동남아 등 일본 외 지역의 라인 사업을 총괄하며, 대만과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라인 메신저는 물론 핀테크, 게임, 배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직원 대부분이 한국인인 라인플러스는 전체 직원 중 60~70%가 개발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어, 라인의 글로벌 및 기술부문에서 핵심 계열사로 자리잡고 있다. 라인플러스와 다른 라인 관련 한국 계열사의 직원 수는 총 2500명 수준으로 알려졌다.

라인의 자회사였던 라인플러스는 2019년 라인과 야후재팬의 경영 통합으로 2021년 라인야후 계열사로 편입되어, 현재는 사실상 소프트뱅크의 지배 하에 있다. 지난해 지배구조 개편을 통해 라인야후의 자회사인 Z인터미디어트글로벌(Z Intermediate Global) 산하에 있게 되었다.

라인야후는 기술적·자본적 탈네이버를 추진하고 있으며, 라인플러스에 대한 업무 위탁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자회사인 만큼 일본 총무성이 문제 삼은 ‘위탁처에 대한 관리 감독’에 아무런 지정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라인야후가 네이버와의 지분 매각 협상 당사자가 아닌 만큼, 현재 진행 중인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간 협상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라인과 야후재팬 통합 이후 소프트뱅크는 네이버와의 약속을 깨고 이사회를 장악해 라인야후 경영을 좌지우지해 왔다.

일본 총무성의 네이버에 대한 지분 매각 입장이 담긴 행정지도가 나온 이후에도, 라인야후는 소프트뱅크와 긴밀히 협의하며 네이버에게 지분 매각을 여러 차례 압박했다. 지난 8일에는 라인 출신인 이데자와 다케시 대표이사 사장이 직접 실적발표 기자간담회에서 ‘탈네이버’를 공식화했다. 이데자와 사장은 당시 손 마사요시(한국명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으로부터 “소프트뱅크가 다수를 취하는 것이 대전제”라며 네이버와의 협상을 최우선적으로 진행할 것을 강력히 요청받았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네이버 내부에서는 소프트뱅크와의 협상이 상당 기간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정부가 압박하던 ‘7월1일 시점’을 우리 정부의 지원으로 일단 피할 수 있게 된 만큼, 네이버는 지분 고수와 매각, 사업 재조정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소프트뱅크와의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