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수 7월 기준 6438명으로 줄어…작년 말 대비 29명 감소
전공의 모집 정원 770명 중 103명 지원, 충원율 13.4%
은퇴 증가·지원 기피 겹치며 인력난 심화 가능성 커져
올해 들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규모가 처음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소폭이나마 증가하던 인원 추세가 끊긴 것은 10여 년 만으로, 전공의 충원이 최저 수준에 그치면서 향후 진료 공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미애 의원이 보건복지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7월 기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643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6467명에서 29명 줄어든 수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13년 5051명이었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매년 100~200명가량 늘어 2021년에는 6000명을 돌파했다. 2023년에도 6389명으로 증가했고, 의정 갈등이 격화된 지난해 말까지는 6467명까지 확대됐지만 올해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2분기에는 6441명으로 줄었고, 7월에는 추가 감소가 확인됐다.
이 같은 변화는 은퇴 연령대에 진입한 고령 전문의가 늘어난 반면, 후속 세대의 전공의 유입이 급감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전공의 모집 성과는 더욱 부진하다.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소아청소년과는 정원 770명 중 103명만 채워져 충원율이 13.4%에 그쳤다. 100명 이상을 모집한 임상과목 가운데 가장 낮은 충원율이다.
이에 따라 9월 기준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규모는 예년 대비 59.7% 수준에 머물렀다. 26개 전문과목 가운데 외과와 함께 최하위권으로, 두 과 모두 신규 인력 부족 현상이 심각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경우 소아청소년 진료 공백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은퇴 전문의 증가와 전공의 지원 급감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인력 기반이 빠르게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지훈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