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맥성 전방 허혈성 시신경병증 1.76배↑
기타 시신경 질환 위험도 통계적 유의 증가
장기 복용 환자·고위험군 안과 모니터링 필요
제2형 당뇨병과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세마글루타이드와 티르제파타이드가 일부 시신경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발표됐다.
특히 비동맥성 전방 허혈성 시신경병증(NAION) 위험이 1.76배, 기타 시신경 질환 위험이 1.65배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JAMA Network Open 11일자에 게재됐다.
연구는 미국 전역의 전자건강기록(EHR) 데이터를 기반으로, 2017년 12월~2023년 1월 사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복용 이력과 시신경 질환 진단 여부를 분석했다.
이전에 안과 질환 이력이 없는 환자만 포함했으며, 세마글루타이드·티르제파타이드 복용군(7만 9699명)과 다른 항당뇨병 약물 복용군(7만 9699명)을 연령, 성별, 동반 질환 등 조건을 맞춰 비교했다.
2년 추적 결과, NAION 발생률은 복용군 0.04%(35명), 비교군 0.02%(19명)로 위험비(HR)는 1.76(95% CI, 1.013.07)이었다. 기타 시신경 질환은 복용군 0.12%(93명), 비교군 0.07%(54명)로 위험비 1.65(95% CI, 1.182.31)을 기록했다.
시신경염, 유두부종, 시신경 위축과의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누적 발생률 분석에서는 약물 투여 직후부터 두 군 간 격차가 나타나 2년간 유지됐다.
GLP-1 수용체 작용제(GLP-1RA) 계열의 다른 약물과 비교했을 때 NAION 위험 증가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기타 시신경 질환(HR 1.94)과 시신경원판 질환(HR 1.39)에서는 위험 상승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이 세마글루타이드·티르제파타이드에 특이적일 가능성을 언급하며, 급격한 대사 변화나 시신경 내 GLP-1 수용체 발현이 관여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발생률은 낮지만, 장기간 복용하거나 시신경 질환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는 주기적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위험 요인 규명과 고위험군 선별을 위한 추가 전향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다만 이번 분석은 후향적 연구 특성, 전자건강기록 데이터 한계, 진단 코드 오류 가능성 등 제약이 있어,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지훈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