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도심항공교통(UAM) 안전운항 위한 핵심 기술 공개

5G 기반 상공망·가상통합플랫폼·K-UAM 그랜드챌린지 공개
지자체 협력 통한 실질적 활용 방안 논의
중앙정부 기술력과 지역 전문성 결합한 협력 출발점

국토교통부는 5G 기반 상공망(CNSi), 가상통합플랫폼(VIPP), K-UAM 그랜드챌린지 등 도심항공교통(UAM) 안전운항을 위한 세 가지 핵심 기술을 공개했다. 국토부는 오는 22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11개 지자체 UAM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관련 내용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설명회는 하늘길 운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해온 기반 기술들을 소개하고, 지자체와 협력해 실질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UAM 상용화를 위해서는 단순히 기체뿐만 아니라 위치 확인과 충돌 예방을 위한 운항체계, 이착륙을 지원하는 버티포트, 가상환경에서의 사전 시험·검증 시스템 등 다층적인 기반이 필요하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첫 번째 핵심 사업은 5G 기반 상공망(Communication·Navigation·Surveillance information, CNSi)이다. 항공기가 하늘길에서 충돌을 피하고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항법·감시 체계로, 국토부는 2022년부터 국가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 최초로 5G 상공망 기술을 확보했다. 올해 안에 1차 개발을 마무리하고 이후 고도화를 이어갈 계획이다.

두 번째는 가상통합플랫폼(Virtual Integrated oPeration Platform, VIPP)이다. 실제 운항과 동일한 상황을 가상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해 사고를 방지하고 교통관리·안전 점검 체계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안전운항 확보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 번째는 K-UAM 그랜드챌린지다. 기체, 운항, 교통관리 등 상용화에 필요한 요소를 민관이 함께 현장에서 점검하고 개선하는 실증 프로그램으로, 지자체의 지역 특성과 기상 조건, 인프라 배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진된다.

국토부는 특히 지자체가 UAM 사업을 준비할 때 안전 점검 체계, 주민 수용성 확보 방안 등을 필수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UAM은 기체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AI 기반 운항체계가 성공의 열쇠”라며 “이번 설명회는 중앙정부의 기술력과 지자체의 전문성이 결합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UAM 서비스를 만드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