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처방전 표준화에 공감대…"추진방식은 논의"

-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전자처방전 발급 및 환자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등 스마트병원으로 발전을 모색·준비 중
- 국민의 민감한 의료정보 집중 및 유출 가능성, 각 병원의 스마트 병원 시스템 구축 추진 중인 현황 등을 감안해야

의협을 제외한 의약단체·환자단체·전문가·관련 기관·업체가 모여 전자처방전 운영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다. 그동안 의료계 내부에서도 찬반 의견이 분분했던 의료기관 환자 편의성 증진 및 약국 업무 체계화를 위한 ‘전자처방전 표준화’ 논의가 속도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다만 앞서 의사단체는 공적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 구축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표명한 바 있는 등 해당 표준화 추진방식에 대해서도 각 직역별 다양한 의견이 있는 만큼 추후 논의가 필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8일 오후 4시 보건복지인재원(서울 중구 소재)에서 의약단체·환자단체·전문가·관련 기관·업체 등과 '안전한 전자처방 협의체'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안전한 전자처방 협의체'는 지난 2월 8일 보건의료발전협의체에서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 도입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구성되어 3월 24일 착수회의(킥오프 회의)를 통해 구성 및 운영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전자처방전의 운영 현황, 구축·지원 필요성 및 문제점에 대해 논의했다.

협의체에서는 환자 편의성 증진 및 약국 업무 체계화를 위해 전자처방전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데에 뜻을 모았고 추진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는 만큼 추후 협의체 논의를 통해 심도있게 검토해나가기로 했다.

이와 관련 ▴처방·조제 절차, 환자 의료정보의 보호, 비용 분석 등 검토 필요 ▴대체조제 및 사후통보 추진 시 환자 안전 저해 우려 ▴모바일 방식 도입 및 마이 헬스웨이 연계 필요 ▴단일 시스템 구축의 문제점 ▴환자의 약국 선택권 존중 ▴정보 취약 계층을 위한 종이 처방전 존치 필요성 ▴단계적 정책 추진 필요성 등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구체적으로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 운영 예시 및 현황에 대해 관련 업체인 엔디에스는 처방전 데이터 전달 및 모바일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의 다양한 방식에 대하여 발표했다.

병원협회는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전자처방전 발급 및 환자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등 스마트병원으로 발전을 모색·준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현재 모바일 앱을 운영(준비) 중인 곳은 약 20개이며 키오스크를 운영(준비) 중인 곳은 약 100개에 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약사회 역시 정보기술(IT) 발전을 활용해 사회적 비용 절감, 개인 민감 정보 유출 방지, 약국 업무 편의성·정확성 증진 등을 위하여 전자처방전 표준화, 공적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 도입 및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한편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 도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에 병원협회는 국민의 민감한 의료정보 집중 및 유출 가능성, 각 병원의 스마트 병원 시스템 구축 추진 중인 현황 등을 감안하여 공적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이 아닌 표준형 모델을 제시하고 인증하는 방식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보건복지부 고형우 보건의료정책과장은 “정보통신기술(ICT) 발전 및 모바일 환경의 보편화에 따라 전자처방전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 논의를 바탕으로 전자처방전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안전한 전자처방 협의체 운영으로 추후 구체적인 검토를 통해 추진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