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경쟁속 한국은 아직... 자율주행차 기술, 어디까지 왔을까

- 30개국 중 16위.. 내년 레벨3 조건부 테스트 실증 “구제타파, 확대투자 시급”

국내 자율주행차 기술은 이르면 내년부터 레벨3 ‘조건부 자율주행 단계’를 상용화할 예정이다. 앞서 시작한 미국과 중국보다는 조금 늦었만 후발 주자로서 빠르게 따라잡고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딱딱한 규제로 관련 산업의 성장이 뒤쳐질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자율주행기술은 최근 규제에서 벗어나 실증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난 17일 세종시에서는 ‘주소기반 자율주행차 대리주차’ 실증 사업이 진행됐다. 14일에는 현대자동차 그룹에서 제작한 자율주행 로봇이 움직였다.

서울 청계천에서는 자율주행버스가 복잡한 도심안에서 길을 찾고 자동차와 사람을 피해 도로를 달린다. 이 버스는 고등 자율주행 단계라 불리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사실상 자율주행 '레벨 4'로 분류된다.

사실상 후발주자인 대한민국은 자율주행 기술 선두 국가인 미국과 중국과 비교할때 뒤쳐져 있다. 지난 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안전 요원이 탑승하는 것을 조건으로 로보택시 유료 운행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GM의 자율주행 자회사 크루즈와 구글의 자회사 웨이모가 요금을 받고 자율 주행 차 서비스를 시작했다.

중국은 지난해 11월 바이두와 포니.ai가 베이징에서 로보택시 상용화 면허를 취득하고 일반 고객을 상대로 유료 서비스에 돌입했다. 바이두는 앞으로 유료 로보택시 운행 도시를 2030년 100곳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한국은 내년도부터 조건부 자율주행 단계인 레벨 3을 상용화할 예정이다. 미국이 2016년, 독일과 일본은 각각 2017년, 2019년부터 자율주행 법률요건을 마련해온 것에 비해 국내는 2020년에서야 법제화에 나서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

이에 정부는 2024년까지 자율주행에 관한 법과 제도 정비를 마무리하고 2027년까지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자율주행 기술은 전망이 밝다. 지난 2월 영국 자동차데이터분석기관 컨퓨즈드닷컴에 따르면 자율주행차 준비도 상위 30개국 중 한국은 16위를 차지했지만 자율주행 관력 특허 출원에서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랐고 도로 품질이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자율차 시범운행지구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제도 시행 2년만인 올해 12개 시도, 16개 지구가 지정됐다. 추가 지정을 희망하는 지자체도 지속 증가 추세를 보여 시범운행제도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자율주행 전문가들은 기술이 전반적으로 선두 주자보다 차이가 나지만 후발주자로서도 모범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제 시작인 만큼 기술 도약까지는 시간이 걸려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인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철 한국교통대학교 교수는 “자율주행 기술이 부분적으로는 어느 정도 수준이 올라와 있어 이제 실제 환경에서 실증도 하고 도로에서 테스트도 필요하다”면서 “규제가 많이 풀리고 있는만큼 다양한 테스트를 할 수 있게 환경을 구축하는게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율 주행 선진국들이 공격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성장한 만큼 늦었지만 우리도 투자와 규제 해제가 많이 이뤄져야 기술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