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진’에 두 번 우는 암 환자들. 진료 전에 의사에게 상세히 알리는게 무엇보다 중요

- 최근 오진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증가하면서 더욱 철저한 검진 체계의 필요성이 대두
- 정상으로 결과를 통보받았더라도 새로운 증상이 발생하거나 이상 증상이 지속될 경우 다시 진료를 받아야

암은 국내 사망 질병 1위로 꼽힐 만큼 무서운 질병이다. 모든 질병이 그렇듯 암 또한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하지만, 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5년 동안 접수된 암 관련 의료서비스 피해구제 신청을 분석해보니 10건 중 3건은 오진 피해로 나타났고, 피해 사례도 꾸준히 접수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 6월까지 접수된 암 관련 의료서비스 피해구제 신청은 총 347건이었다. 이 가운데 암 오진 사례는 37.8%(131건)로 '암을 암이 아닌 것으로 진단'한 경우가 87%(114건), '암이 아닌데 암으로 진단'한 경우가 13%(17건)였는데, 이로 인해 상태 악화, 치료 지연 등의 피해를 입게 되었다.




오진 사례의 암 종류는 폐암이 19.1%로 가장 많았고 이어 위암(13%), 유방암(12.2%), 간암(9.2%) 등의 순이었다. 여성은 유방암, 남성은 폐암을 오진한 경우가 많았다. 이상 증상이 있어 진료를 받는 과정에 오진이 발생한 사례가 62.6%였고, 건강검진 도중 오진한 경우가 22.1%였다. 건강검진 이후 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추가 검사에서 오진이 발생한 사례도 15.3%였다.

오진 사례 중 병원 책임이 인정된 78건을 분석한 결과 정확한 진단을 위해 추가 검사가 필요했으나 하지 않은 경우가 39.7%, 영상 검사 판독 오류가 30.8%였다. 암 오진으로 입은 피해는 상태 악화(53.8%), 치료 지연(33.3%)이 주를 이뤘다.

한국소비자원은 암 오진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이상 증상이 있다면 진료 전에 의사에게 상세히 알리고 검사결과를 이해하기 어려울 경우 상세한 설명을 요구할 것, 검사 후 정상으로 결과를 통보받았더라도 새로운 증상이 발생하거나 이상 증상이 지속될 경우 다시 진료를 받을 것 등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