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결제 이용 급증…카카오·네이버 등 ‘빅테크 결제’ 급부상

작년 간편결제 하루 9551억원 결제…1년 만에 9.6% 증가
카카오·네이버 등 빅테크 비중 확대…금융사 점유율은 하락세
PG·간편송금 시장도 급성장…"전자지급시장 재편 가속화"

국내 간편결제 시장이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큰 폭으로 성장하며,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등 빅테크 중심의 결제 서비스가 주도권을 잡아가고 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중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 평균 결제 규모는 955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9.6% 늘어난 규모로, 이용 건수 역시 1일 평균 3073만 건에서 3448만 건으로 12.3% 증가했다.

특히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 등 빅테크 사업자의 성장세가 눈에 띄었다. 지난해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등 빅테크 플랫폼의 간편결제 시장 점유율은 51.2%로, 2022년(49.4%)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이 중에서도 미리 충전한 선불금 기반 결제 비중은 2022년 31.2%에서 지난해 33.7%로 꾸준히 늘어나, 소비자들이 카드보다는 빅테크 플랫폼 자체의 선불 결제 수단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페이·애플페이 등 스마트폰 제조사 기반 간편결제 비중은 25.6%에서 지난해에도 비슷한 25.5%로 유지됐다. 하루 평균 결제 건수는 372만건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전통 금융권(KB페이·신한SOL페이 등 금융회사) 기반의 간편결제 비중은 같은 기간 25.6%에서 24.4%로 줄었다. 이는 빅테크 플랫폼의 시장 점유율 증가와는 반대로 금융사들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특히 간편송금 서비스의 급속한 성장도 주목할 만하다. 지난해 토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을 이용한 간편송금 서비스는 하루 평균 9120억원 규모로 전년보다 17.4% 증가했다. 송금 건수 역시 1675만건으로 1년 만에 13.2% 늘어났다.

전자상거래의 성장과 함께 전자지급결제대행(PG) 서비스 이용도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하루 평균 PG서비스 결제 규모는 1조5565억원으로 전년 대비 14.7% 증가했고, 선불전자지급수단 및 모바일 상품권 등 기타 결제대행도 50% 이상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이는 선불업체들이 공격적으로 혜택과 사용처를 확대하면서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시장 확대에 따라 지난해 말 기준 전자지급서비스 업체 수는 총 215개사로 전년 대비 13개 업체가 증가했으며,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경제가 어려워도 간편결제·송금 서비스는 더욱 확대되는 추세”라며 “특히 빅테크 중심으로 경쟁이 심화되면서 금융권과 통신사, 제조사 간 결제 시장 재편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