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대규모 재정투자 본격화
중증·고난도 진료 역량 강화… 수술실·중환자실 현대화 지원
권역책임의료기관, 수도권 대형병원 수준으로 육성 목표
정부가 전국 17개 시도별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최종 치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재정을 투입해 의료 인프라 첨단화에 나선다.
이를 통해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집중되는 의료 쏠림 현상을 완화하고, 지역에서도 중증·응급 진료가 완결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13일 ‘권역책임의료기관 시설·장비 지원사업’ 추진계획을 공고했다. 이번 사업은 지역완결적 필수의료 체계 구축을 위한 핵심 재정투자로, 국비 812억 원이 투입된다.
권역책임의료기관은 ▲고난도 필수의료 진료를 제공하고 ▲지역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를 조정하는 역할을 맡는 기관으로, 2019년부터 지역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지정됐다. 현재 모든 시도에 17개 기관이 지정돼 지역 필수의료 협력체계를 총괄하고 있다.
정부는 2023년 10월 ‘필수의료 혁신전략’을 발표하며 권역책임의료기관을 수도권 대형병원(빅5) 수준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거점 국립의대 전임교원 1000명 증원 ▲보건의료 R&D 투자 확대 ▲의료 규제 개선 등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권역책임의료기관에는 중증·고난도 질환 치료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이 투입된다. 주요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수술실 현대화 및 최첨단 장비 구축
- 중환자실 시설·장비 개선 및 특수 중환자실 확충
- 지역 최상위 병원으로서의 중환자 진료체계 선진화
복지부는 “각 권역책임의료기관이 지역의 필수의료 여건과 병원 진료역량을 고려해 사업계획서를 마련한 뒤, 지방자치단체와 협의를 거쳐 제출하면 맞춤형 투자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제출된 사업계획서는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최종 지원 규모가 확정된다.
정통령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권역책임의료기관이 확고한 임상적 리더십을 확보해야 지역 완결적 필수의료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며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의료개혁 재정투자를 통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의료 확충을 빠르게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업이 지역 의료기관의 치료 역량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수도권 대형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현상을 완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새롬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