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으로 상급종합병원 의사 수 급감, 8796명 감소

서울대병원, 의사 수 654명 줄어들며 가장 큰 타격
전공의 공백으로 인한 의사 수 감소, 전임의 및 교수 이탈도 심각
정부의 상시 채용 전환에도 전공의 지원자 부족, 의료 현장 위기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을 둘러싼 의정 갈등으로 인해 지난해 상급종합병원의 의사 수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공의와 이를 대체하던 전임의, 교수 등 전문의들까지 이탈하며 의료 공백이 커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상급종합병원 47곳의 의사 수는 2023년 12월 2만4336명에서 2024년 12월 1만5540명으로 8796명(36.14%) 감소했다. 병원마다 차이가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187명(36.10%)이 감소했다.

서울대병원, 의사 수 654명 감소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곳은 수도권의 빅5 병원들이다. 서울대병원은 2023년 1604명에서 2024년 950명으로 654명(40.77%)이 줄었으며, 서울아산병원은 1716명에서 1119명(34.79%), 세브란스병원은 1525명에서 949명(37.77%)으로 감소했다.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성모병원도 각각 918명(34.33%), 634명(28.68%)으로 의사 수가 줄어들었다.

지방대 병원들도 상황은 비슷했다. 경북대병원은 의사 수가 499명에서 233명으로 266명이 줄어들며 53.30%의 감소율을 보였다. 부산대병원과 충남대병원도 각각 546명, 490명에서 291명, 266명으로 감소했다.

전공의 공백, 의사 수 감소의 핵심 원인


대형병원들의 의사 수 감소는 주로 전공의의 이탈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2023년 상급종합병원의 전공의 수는 9471명이었으나 2024년에는 610명으로 8861명(93.56%)이 감소했다.


특히 인턴은 2396명에서 32명으로 98.66%가 줄었고, 레지던트는 7025명에서 578명으로 91.77%가 감소했다.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등은 전공의 공백이 가장 두드러졌다.

전문가들, 피로와 번아웃에 직면


전공의 공백을 메우던 전임의와 교수들의 이탈도 현실화되고 있다. 2023년 1만4427명이었던 전문의 수는 2024년 1만4166명으로 261명이 줄어들었다. 서울아산병원은 1082명에서 1032명으로 50명이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병원들은 일반의 채용 등으로 공백을 메우고 있지만, 의정 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3월부터 전공의 모집을 상시 채용으로 전환했으나 지원자가 적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 교수는 "교수들이 초기에는 어느 정도 공백을 메울 수 있었지만, 이제는 피로도가 극에 달한 상황"이라며 "이대로 계속된다면 남은 인력들은 집단적 번아웃에 내몰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