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부, 청년세대 무자녀 부부 간담회…“돌잔치부터 무한경쟁”
- 올해 1~3분기 태어난 아기 17만7000명…역대 최저
올해 3분기까지 출생한 아기의 수는 17만여명. 또 다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거듭하여 추락하는 우리나라 출산율의 원인은 무엇인가.
딩크족(자녀 없는 맞벌이부부)은 ‘자녀를 가지지 않는 까닭’으로 시간 및 경제적 여유 외에도 경쟁이 심한 한국사회 분위기를 꼽았다고 한다.
보건복지부가 저출산 현장의 이야기를 듣고 정책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7일 저녁 마련한 ‘패밀리스토밍’ 자리에서 한 무자녀 부부는 “돌잔치에서 아이가 걷는지부터 시작해서 학교와 직장까지 계속 비교하잖나. 그 무한경쟁에 부모로서 참전할 자신이 없다”고 털어놨다.
이날 행사에는 특별한 자녀 계획이 없거나 자녀를 낳지 않겠다고 결정한 청년 세대 ‘무자녀 부부’ 12명이 참석해 출산에 관한 자유로운 이야기를 나눴다. “아이의 입시 전쟁에 참전할 자신이 없다”고 밝힌 참가자 이모씨는 “아이 성적은 곧 부모 성적표다. 지금은 학력 수준이 높아진 부모들 경쟁심이 더 심해진 것 같다”고 지적했다.
다른 참가자는 “오죽하면 개근하는 아이들을 여행을 못 가는 거라고 비하하는 ‘개근거지’라는 말까지 나왔겠나”라고 한탄하며 “아이들끼리 비교하는 문화가 개선돼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 참가자는 “아이를 학교에 태우고 갔을 때 아이 기가 죽을까 봐 무리해서라도 외제차로 바꾼다는 부모들이 있다고 해 걱정”이라고 고충을 털어놨다.
참가자들은 대부분 아이를 낳고 남들 사는 만큼 여유롭게 살 수 있는 경제적 여건이 되지 않는다고도 토로했다. 한 참가자는 “차가 두세 대씩 있는 집들을 보다 보니 ‘우리도 세 대는 있어야지’라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사람들이 비교에서 밀리지 않으려고 개인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기준치를 점점 높이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고 했다.
긴 근로 시간과 열악한 보육 환경을 비출산 이유로 꼽은 이들도 많았다. “맞벌이하는 부부인데 집에 오면 잠만 겨우 자고 주로 외식을 한다”는 백모씨는 “아이를 돌봐주지 못할 것 같은데 나를 원망할까 봐 걱정된다”고 했다. 또 “좋은 어린이집 찾기가 힘들다” “야간근무나 교대근무라도 하면 아이를 아무 데도 맡길 수 없다” 등 위탁 보육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의견도 나왔다.
한 참가자는 “그렇다고 노령의 부모님께 맡기자니 부모님의 노후가 걱정된다”며 “조부모가 나이 들어서까지 본인의 노후를 챙기지 못하고 손자를 보는 게 당연해질까 봐 우려된다”고 말했다.
행사를 주재한 이기일 복지부 1차관은 “자녀를 낳지 않겠다는 선택은 치열한 고민의 결과”라며 “저출산으로 우리나라가 서서히 끓는 냄비 속 개구리처럼 되지 않도록 참가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신속하게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누적 출생아 수는 17만7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수준이다.
1~3분기 기준 출생아 수는 1981년 65만7000명에서 2002년 30만명대로 급감했다 2017년 27만8000명으로 줄었다. 지난해 19만3000명으로 10만명대로 내려앉은 데 이어 올해는 더 줄어든 셈이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도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올해 3분기 합계출산율은 0.70명으로 1년 전보다 0.10명 줄어들었다. 연말로 갈수록 출생아가 줄어드는 흐름을 고려하면 올해 4분기에는 사상 처음 0.6명대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아름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