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 인도 시장서 점유율 하락... '위기' 찾아오나

인도 점유율 역대 최저 수준, 중국업체 약진에 밀려
미국 프리미엄폰 수요 감소로 출하량↓
국내 경제 불안까지 겹쳐 삼성 '안방 점유율'도 흔들

삼성 스마트폰이 지난해 4분기 인도와 미국, 국내 등 주요 시장에서 동시에 점유율과 출하량이 감소하며 글로벌 위상이 흔들리는 모양새다.



12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11%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두 계단 하락한 5위로 밀려났다. 인도는 삼성 스마트폰이 꾸준히 10% 후반에서 20%대 점유율을 유지하던 시장이지만, 이번에는 처음으로 10% 초반으로 급락했다. 특히 출하량도 전년 대비 무려 37% 감소했다.

삼성의 부진은 중국 브랜드와 애플이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한 결과로 분석된다. 비보(21%)와 샤오미가 1·2위를 차지한 가운데 애플도 지난해 4분기 처음으로 인도에서 5위권 내에 진입하며 삼성의 자리를 위협했다.

삼성전자는 위기감에 대응해 인도 시장을 다시 챙기고 있다. 실제로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은 이달 초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 직후 곧바로 인도 생산시설을 방문하는 등 인도 시장 회복에 공을 들이고 있다.

미국 시장 상황도 밝지 않다. 삼성은 지난해 4분기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여전히 애플에 이은 2위를 유지했지만, 출하량은 전년 동기보다 4% 줄었다. 이는 미국 소비자들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가 전반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애플 또한 아이폰16 시리즈의 판매가 기대 이하로 나타나면서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했다.

삼성의 안방인 국내 시장 상황도 녹록지 않다. 지난해 4분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전체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하면서 삼성의 점유율 역시 전년 64%에서 60%로 떨어졌다. 국내 소비심리가 위축된 데 따른 결과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한국 시장에 대해 "경제적, 정치적 불확실성이 2025년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신규 수요를 기대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며, "일정 수준의 교체 수요를 제외하면 추가 성장 여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