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설계 기술 활용해 특정 질병 타깃 후보물질 대규모 발굴 추진
산·학·연 컨소시엄 구성해 2027년까지 1개 품목 개발 목표
국회도 추경 예산안 적극 지원하며 사업 차질 없는 진행 주문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신약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항체 바이오베터 분야에 4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 사업은 AI를 활용해 특정 질병을 겨냥한 후보물질을 신속하고 대규모로 발굴해, 국가 바이오의약품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13일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AI 설계 기반 기술을 통해 질병별 타깃 항체후보물질을 대량 병렬 생성하고,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이재명 대통령이 선거 공약으로 내세운 AI와 신약 개발 전략이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되면서 구체화됐다.
바이오베터(Biobetter)는 기존에 허가된 생물의약품과 비교해 유효성분 조합, 투여 방식, 제제학적 특성 등을 개선한 신약으로, 안전성과 효능, 환자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이번 사업은 이러한 바이오베터 후보를 AI 기술로 신속하게 탐색하고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복지부는 이번 추경에서 AI 기반 항체 바이오베터 개발을 위한 예산 404억 원을 확보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역시 추경 심의 과정에서 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한 부대의견을 첨부하며 적극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사업은 오는 9월까지 산·학·연 컨소시엄 1곳을 선정하는 절차를 거쳐,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총 사업 기간은 2년 3개월로, 2027년 말까지 AI를 활용해 항체의약품 1개 품목을 발굴해내는 것이 목표다.
예컨대, 휴미라(아달리무맙), 스텔라라(유스테키누맙) 등 기존 바이오베터 후보물질을 선별해 환자의 투약 편의성이나 내약성 등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될 전망이다. 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 관계자는 “질환군을 한정하지 않고, 공모 과제 중 우수한 바이오베터나 바이오신약 후보를 선별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사업 추진 일정은 이달 내 연구 제안서 공지를 시작으로, 전문위원회를 통한 평가를 거쳐 8월 중 최종 컨소시엄 구성이 확정된다. 이후 10월부터 본격적인 연구개발 활동에 착수할 예정이다.
보건산업진흥과는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이번 사업이 미래 국가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와 혁신적인 바이오베터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AI 기반 항체 바이오베터 개발 사업은 첨단 기술을 활용해 의료 산업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신약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정부의 핵심 전략으로 평가된다. 국회와 정부가 긴밀히 협력해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만큼, 향후 신약 개발 생태계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지훈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