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 사태에도 이익은 올랐다...SK,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13.8%↑

AI 데이터센터·AIX 중심 매출 확대…영업익 5,674억원 기록
에이닷 900만명 돌파·에스터 베타 출시 등 AI 서비스 본격화
사이버 침해 대응 총력…유심 보호 서비스 강화 및 고객신뢰회복위 구성

SK텔레콤이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인공지능(AI) 사업 성장에 힘입어 영업이익 증가세를 이어갔다. AI 데이터센터(AI DC)와 AI 인프라 서비스(AIX) 부문의 확장이 두드러졌으며, 유무선 통신 가입자 증가도 실적에 기여했다. 반면 지난해 자회사 매각 영향으로 전체 매출은 소폭 감소했다.



SK텔레콤은 12일 실적 발표를 통해 연결 기준 1분기 매출 4조4,537억원, 영업이익 5,674억원, 당기순이익 3,61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13.8% 증가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소폭(0.1%) 줄었다.

AI DC 부문은 데이터센터 가동률 증가와 용량 확대로 전년 대비 11.1% 늘어난 1,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AIX 부문 역시 27.2% 증가한 45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AI 마케팅 수주 확대와 클라우드 수요 증가가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다. 회사는 중장기적으로 하이퍼스케일 AI DC 구축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AI 서비스 부문에서는 자사 AI 에이전트 서비스인 에이닷(A.)이 누적 가입자 900만명을 넘기며 안정적인 이용자 기반을 확보했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에스터(Aster)’는 지난 3월 미국에서 오픈 베타를 시작했으며, 올 하반기 정식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기업 대상 AI 솔루션 ‘에이닷 비즈(A. Biz)’도 베타 테스트를 마치고 상반기 내 상용화될 예정이다.

기존 통신 부문도 5G와 초고속인터넷 등에서 가입자가 늘어나며 실적을 뒷받침했다. 한편, 1분기 배당금은 주당 830원으로 결정됐고, 배당기준일은 오는 5월 31일이다. SKT는 올해부터 분기배당 절차를 사전 확정 방식으로 전환해 주주 예측 가능성을 높였다.

한편, 최근 불거진 사이버 침해 사고와 관련해 SK텔레콤은 고객 보호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비정상 인증 시도를 차단하는 ‘FDS(이상거래탐지시스템)’를 최고 수준으로 상향 운영 중이며, 전체 고객 대상 유심 보호 서비스 자동 가입을 완료했다.

유심 보안 강화를 위해 실물 교체 없이 일부 정보를 변경하는 ‘유심 재설정’ 서비스와, 해외 로밍 중에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 유심 보호 기능도 이날부터 도입됐다. 11일 기준 유심 무료 교체를 완료한 고객은 147만명에 달한다.

SKT는 전국 2,600여 개 T월드 매장에서 번호이동 및 신규 가입을 중단하고, 유심 보안 관련 업무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외부 전문가와 고객이 참여하는 ‘고객 신뢰회복 위원회’를 출범시켜 보안 체계 전반을 점검하고,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김양섭 SK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사이버 침해 사고를 계기로 전사적인 혁신을 추진 중”이라며 “고객 신뢰를 회복하고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