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년 이상 치매 정책이 집행되어 왔지만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지표는 부족한 상황
- 지역사회에서 치매 관리를 받고 있는 비율은 소득이 적은 경우,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 기저 질환이 많은 경우 뚜렷하게 낮아지는 경향 보여
치매 환자들에 대한 지역사회의 평균 관리 기간이 약 6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소득이 적고 지방에 거주하며 기저질환이 많은 고령의 치매 환자는 상대적으로 지역사회 관리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7일 대한치매학회(이사장 박건우) 빅데이터 연구팀은 치매정책의 방향 논의에 중요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치매환자 5년 지역사회관리율: 치매정책 제안지표' 연구 결과를 SCIE 등재,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클리니컬 뉴롤로지(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제 4차 치매관리종합계획 사전 연구과정에서 논의됐으며 중앙치매센터와 협력해 보건복지부 치매정책과와 국민건강보험공단 협조하에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해 진행했다.
◆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지표 부족한 상황
치매 환자의 경우 진단을 받은 초기에는 개인 및 친인척, 주간보호센터 등의 지역사회에서 약물 치료와 인지중재치료 등의 관리를 받는다. 이후 증상이 악화되거나 합병증이 생기면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 또는 입소하게 되는데 치매 환자가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다가 요양시설에 입소할 경우 급격하게 관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 치매 정책의 방향성은 치매 환자들의 지역사회 거주 지원 방안 마련에 많은 관심과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제1차 치매관리 종합계획이 발표된 이후 치매국가책임제와 지난해 발표된 제 4차 계획까지 10년 이상 치매 정책이 집행되어 왔지만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지표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 치매학회, 지역 사회에서 치매 관리를 받는 기간을 조사
이에 치매학회는 2002년도부터 2018년도까지의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통해 매년 새로 등록된 치매 상병자수를 파악하고, 치매 진단 시점에서부터 지역 사회에서 치매 관리를 받는 기간을 조사했다.
구체적으로 분석 대상은 54만9297명, 환자가 사망하거나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3개월 이상 입원 또는 입소하는 경우를 지역사회 치매 환자 관리 종료 시점으로 계산해 5년간 지역 사회에서 관리되고 있는 치매 환자 비율을 분석했다.
2003년부터 새로 치매 진단을 받은 이들을 15년 추적 관찰한 결과, 평균 지역사회 관리 기간은 5.98년으로 분석됐다. 특히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치매 관리를 받고 있는 비율은 소득이 적은 경우,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 기저 질환이 많은 경우 뚜렷하게 낮아지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
대한치매학회 권혁성 교수(한양대구리병원 신경과)는 "정책연구 관련 분야에서 공공 빅데이터 자료의 활용을 위해 치매학회의 전문가 그룹과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건강보험공단과 같은 공공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는 부분이 향후 좋은 선례가 될 것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정책연구들이 앞으로 더욱 확대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중앙치매센터와 협력해 복지부 치매정책과와 국민건강보험공단 협조 하에 공단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해 진행됐으며, 제 4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의 성과 지표에도 지역사회 치매 관리비율이 포함됐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재일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