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과적인 운동을 위해서는 연령, 무릎 질환 여부 등 자신의 몸 상태를 고려해 각도, 운동 강도 등을 조절해야
- 무릎 관절염이 심한 사람은 연골판이 약해 반복적으로 부담이 가해지면 손상 위험이 있어 하체 운동시 조심해야
사람의 몸 중 가장 먼저 쇠약해지는 곳은 어느 부위일까? 바로 하반신(하체)라고 한다. 또한 예로부터 사람은 허리부터 하체 근육이 튼튼해야 장수할 수 있다는 말도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활력을 내는 대부분의 몸 근육이 하반신에 몰려있기 때문인데, 허리와 골반 부위의 코어 근육은 몸통을 지탱하고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다면 엉덩이, 허리, 골반 부위의 근육이 약하진 않은지 평소 확인해보고, 꾸준히 단련해야 한다.
◆ 하체 근육 부족 자가진단법
- 아무리 바지를 올려 입어도 엉덩이 부분이 헐렁해진다
- 딱딱한 의자에 앉으면 엉덩이가 아프다
- 걸을 때 일직선으로 걸으려 하면 나도 모르기 비틀거린다
- 자주 다리가 시리거나 저리다
- 한 달 이상 성욕이 없다
- 걷는 거리가 급격히 줄어든다
- 괄약근이 약해져 소변이 샐 때가 있다
- 갑자기 전립선 질환이 생긴다
- 발기와 사정이 잘 안된다
- 정액의 양이 급격히 준다
위에 기술한 하체 근력 부족 증상이 생겼다면 스쿼트, 런지 등의 운동을 통해 허벅지 근력을 강화하면 좋다.
◆ 스쿼트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운동기구 없이 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홈트(홈트레이닝)'가 인기다. 대표적인 운동으로 '스쿼트'가 있다. 엉덩이·허벅지 등 하체 근육을 단련하는 스쿼트는 발을 어깨너비로 벌린 후 허벅지가 수평이 될 때까지 여러 번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다. 다만 이는 일반적인 동작으로, 효과적인 운동을 위해서는 체형, 연령, 무릎 질환 여부 등 자신의 몸 상태를 고려해 발 사이 간격, 무릎 각도, 운동 강도를 조절해야 한다. 몸 상태 별 스쿼트 운동법을 소개한다.
- 중장년층은 '와이드 스쿼트'
근력이 저하된 중장년층에게는 일반 스쿼트 대신 '와이드 스쿼트'가 추천된다. 와이드 스쿼트는 말 그대로 다리를 어깨보다 넓게 벌리고 하는 스쿼트로, 발 사이 간격이 넓어지는 만큼, 안정감이 좋고 무릎에 힘도 덜 들어간다. 다만, 다리를 어깨너비보다 2배 이상 과하게 벌릴 경우 고관절에 무리가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 무릎 통증이 있다면 '미니 스쿼트'
스쿼트 자세에서 무릎 통증을 느낄 경우 무릎을 살짝 구부리는 '미니 스쿼트'를 하도록 한다. 무릎을 크게 굽혔다 펼 때 통증이 있다면 무릎 사이 연골판이 약해진 상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스쿼트 동작을 계속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반대로 무릎을 30도 정도만 구부리는 미니 스쿼트를 하면, 연골판에 전해지는 부담이 줄고 하체 근육이 자극된다. 강도가 부족하다면 다리 각도를 조절하지 말고 한 세트에 반복하는 횟수를 늘리도록 한다.
- 오다리엔 '내로우 스쿼트'
'오다리(내반슬 변형)'가 있는 사람의 경우 무릎이 살짝 닿을 정도로 발을 모으고 하는 '내로우 스쿼트'가 추천된다. 오다리는 무릎관절이 바깥으로 휘어져 있고, 무릎을 붙이고 똑바로 섰을 때 무릎 간격이 2.5cm 이상인 상태다. 내로우 스쿼트를 하면 다리를 안쪽으로 모아주는 근육(모음근)을 자극해, 무릎과 다리가 벌려진 상태인 오다리를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실제 오다리인 사람이 내로우 스쿼트를 한 후 무릎 사이 간격이 평균 6.34cm에서 5.34cm로 감소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 스쿼트를 하면 안 되는 사람
자세와 상관없이 스쿼트를 하면 안 되는 사람도 있다. 무릎 관절염이 있는 사람이 대표적이다. 스쿼트 동작은 무릎 관절 근처 인대 근육을 강화하지만, 관절 사이 '반월상 연골판'에는 부담을 준다. 무릎 관절염이 심한 사람은 연골판이 약해 반복적으로 부담이 가해지면 손상 위험이 있다. 부담의 덜 하도록 앞서 설명한 '미니 스쿼트'를 하는 방법도 있지만, 되도록 무릎에 부담이 없는 운동을 하고 운동 중 통증이 느껴진다면 즉시 멈춰야 한다.
치질 환자 역시 스쿼트를 할 때 조심해야 한다. 스쿼트를 하면 배와 다리, 엉덩이에 힘을 주고 앉았다 일어나는데, 이때 복압이 높아져 항문 주위 혈관 압력이 증가해 치질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치질 환자에게는 스쿼트 대신 가벼운 걷기 운동이 추천된다.
◆ 런지
런지는 똑바로 서서 한 쪽 다리를 앞으로 내디딘 다음에 허벅지가 바닥에 평행이 될 때까지 낮추는 운동법이다. 10~20회를 했을 때 힘들다면 마찬가지로 다리 근육을 단련해야 한다.
◆ 하체 근육의 중요성
하체가 튼튼해야 전신이 건강할 수 있다. 활동할 때 힘을 내는 몸 근육의 대부분이 하반신에 있기 때문이다. 하체 근육이 부실하면 뼈와 관절에 문제가 생겨 무릎, 허리 통증을 유발하며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고,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성기능에까지 문제가 생길 위험이 있다. 하체 힘이 약해질 때 나타나는 증상을 잘 살펴보면서, 꾸준히 하체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기현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