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코로나19 슈퍼 변이’ 발견! 돌연변이 32개 동반한 ‘누변이’

- 바이러스 하나에 수십 가지 돌연변이가 반영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
- 변이가 이뤄지면 백신 접종 등으로 형성한 기존의 면역 시스템이 병원균에 저항하는 일도 어려워져

24일 블룸버그 통신과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주요 외신은 바이러스 하나에 수십 가지 돌연변이가 반영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돼 과학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B.1.1.529’(누 변이)로 불리는 이 변종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32가지 변이 유전체를 지니고 있다.



바이러스는 표면의 돌기 모양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을 통해 사람의 세포 속으로 침투하기 때문에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생기면 전파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코로나19 백신은 모두 스파이크 단백질에 작용하기 때문에, 변이가 이뤄지면 백신 접종 등으로 형성한 기존의 면역 시스템이 병원균에 저항하는 일도 어려워진다.


앞서 확인된 B.1.1.529 변이는 총 10여 건이다. 최초 발견은 지난달 11일 아프리카 보츠와나에서였다. 이후 보츠와나에서 2건이 더 확인됐다. 이후 6건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1건은 홍콩에서 발견됐다.


홍콩의 사례는 36살 남성으로, 남아공을 20일간 방문하고 돌아온 지 이틀 만에 격리 중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어 남아공 보건부는 25일 새 변이 발생을 공식 확인하면서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 보다 전염력이 높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바이러스학자인 톰 피콕 박사는 B.1.1.529 변이종의 바이러스 정보를 유전체 정보 공유 사이트에 공유하면서 “매우 많은 양의 스파이크 돌연변이가 크게 우려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아주 아주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며 “전파력이 그다지 크지 않은 이상한 종으로 드러날 수 있다. 그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프랑수아 발루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유전학 연구소 교수는 한 변이종 내에 대량의 돌연변이가 발견된 것은 `한 차례의 폭발적 변이`의 영향일 것으로 예상했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HIV’ 감염 등으로 면역 체계가 약화한 만성 질환자의 몸 안에서 이런 변화가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