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척추 심부감염 발생 빈도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없었는데 이를 최초로 분석해 위험요인까지 찾았다는 점이 큰 의의
- 경막외 신경차단술 후 발생 가능한 치명적 부작용 중 하나인 심부감염 발생 빈도 및 위험요인을 규명해 학계의 주목
최근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문지연 교수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통해 경막외 신경차단술 후 발생 가능한 치명적 부작용 중 하나인 심부감염 발생 빈도 및 위험요인을 규명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마취통증의학과 최고 권위지인 ‘Anesthesiology’ 최근호에 게재됐으며, 최근 열린 대한통증학회 학술대회에서 SCI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디스크탈출증과 같은 척추 연관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외래에서 흔히 경막 외 신경차단술을 시행한다. 비교적 안전하지만 시술 후 신경 손상, 심부감염 등 부작용 우려가 상존한다. 이러한 부작용은 조기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환자에게 영구적인 손상을 끼칠 수 있다. 그러나 부작용은 치명적인 만큼 매우 드물게 발생해 기존의 단일기관 연구를 통해서는 정확한 발생 빈도나 위험인자를 밝히기가 거의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10년 간 척추 경막 외 신경차단술 추이 ▲시술 이후 90일 이내에 발생한 척추 심부감염 발생률 ▲척추 심부감염 위험인자를 다변수 회귀분석 등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통증 환자 대상으로 외래에서 시행된 경막외 신경차단술 시술 빈도는 2006년 기준 1000명당 약 40.8회에서 2015년 기준 84.4회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빈도로 국내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용이함을 간접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한 경막 외 신경차단술 후 발생한 합병증 중 매우 드물지만 발생하면 수술 및 사망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척추 심부감염 발생빈도는 0.01%로 나타났다. 1만건의 시술 중 약 1건에서 척추 심부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척추 심부감염은 고령환자, 시골지역 거주,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면역 억제제 사용환자, 단기간 내에 수차례 시술을 반복하는 경우에서 더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합병증을 앓은 환자의 65%가 입원해 항생제 정맥주입 치료를 장기간 받았음에도 수술을 통해 농양을 제거해야 했고, 27%는 6개월 이내에 사망했다.
문지연 교수는 “그동안 척추 심부감염 발생 빈도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없었는데 이를 최초로 분석해 위험요인까지 찾았다는 점이 큰 의의”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환자의 통증 치료 시 이러한 부작용 발생 빈도와 위험인자를 고려하여 더욱 신중하게 시술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재일[]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