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병원 간 공동 교육 체제로...전문가들 '전공의 순환배정' 제안

"전문과 주도 수련 강조...학회 역할 확대 필요성 제기"
지역 단위 전공의 배정 논의..."의국 중심 시스템 변화 불가피"
수련병원 역량 차이 극복 넘어 진료 체계 이해 목표로

최근 전공의 수련 방식의 개선 방안으로 '공동 수련' 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수련병원 간 격차를 극복하고 전문과가 주도하는 전공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지난달 28일 열린 대한응급의학회 춘계학술대회의 전공의 수련 심포지엄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보라매병원 송경준 교수는 현재 수련병원들의 지도 역량 차이와 전공의 정원 배정의 어려움을 지적하며 공동 수련 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송 교수는 "모든 수련병원이 세부 분야를 다 지도할 수는 없다. 지도 가능한 교수가 있느냐 등 역량 차이는 있다"며 "전공의가 다양한 병원을 돌며 세부 분야까지 익힐 수 있도록 공동 수련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송 교수는 앞으로 모든 수련병원에 매년 전공의 정원을 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전공의 정원 순환 배정도 고민해야 한다. 수련병원이 전공의 정원을 2~3년에 한 번 받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공동 수련 과정의 필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졸업후교육위원장인 충남대병원 이선우 교수는 공동 수련을 위해 전공의 정원 배정 방식부터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의 의국 중심 수련 체제에서 지역별 수련 체제로의 이행을 제안했다. 이 교수는 구체적인 예시로 "충남대병원이 있는 대전을 예로 들면 충남의대와 건양의대, 을지의대 3개 병원 응급의학과가 함께 정원을 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또한 전공의 수련 프로그램 구성과 관리에 있어 학회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들며 "정부는 이 체계에 절대 들어와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문성을 갖춘 학회가 전공의 교육을 주도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고대안암병원 김수진 교수 역시 정부 주도의 전공의 정원 및 수련 관리가 수련병원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또한 공동 수련의 목적에 대해 더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역 네트워크를 거론하면 아직 수련병원 역량 부족 문제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정말 수련병원 역량 부족을 극복하고 함께 교육 질을 끌어올리고자 공동 수련이 필요한지 아니면 전문의를 키우는 과정에서 공공의료를 비롯한 진료 체계 이해를 함양하고자 지역 네트워크가 필요한지 구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논의들은 전공의 수련 제도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공동 수련 제도는 수련병원 간 격차 해소, 전문과 주도의 교육 실현, 지역 의료 체계에 대한 이해 증진 등 다양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공의 정원 배정 방식의 변경, 수련 프로그램의 재구성, 정부와 학회 간의 역할 재정립 등 여러 과제들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수련병원의 특성과 지역별 의료 환경을 고려한 세밀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