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청년들의 ‘결혼’에 얽매이지 않는 양상이 보다 더 뚜렷해지고 있다.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들이 10년 전과 비교해 크게 줄어 전체 3명 중 1명에 불과한 가운데 비혼 상태에서 동거를 하는 커플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 변화’에 따르면 결혼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이 지난해 5월을 기준으로 36.4%로 집계됐다. 10년 전 56.5%로 조사됐던 2012년과 비교해 20%p 이상 감소한 것이다.
이는 전체 인구 중 결혼에 긍정적인 인구 비율인 50%보다 13.6%p 더 낮게 집계된 것이다. 결혼에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여자 28%, 남자 43.8%로 각각 10년 전과 비교해 18.9%p, 22.3%p 낮아졌다.
연령별로 19~24세 34.0%, 25~29세 36.1%, 30~34세 39.2%로 나타나며 통상 결혼 적령기로 꼽히는 30대 초반 이후에서도 결혼에 긍정적인 응답이 과반에 미치지 못했고, 나이가 어려질수록 부정적인 의견이 더 높았다.
그렇다면 청년들이 과거와 달리 결혼에 부정적이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청년들은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이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다름 아닌 경제적 이유였다.
결혼에 부정적인 청년들은 결혼 자금 부족(33.7%)을 그 이유로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결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답변이 13.7%, 출산, 양육에 대한 부담 11.0%, 고용 상태 불안 10.2%, 결혼 상대 못 만남 9.7% 등이 뒤를 이었다.
결혼 자금이 부족하다고 답변한 이들의 비중은 여성(26.4%)보다 남성(40.9%)에서 더 높았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80.9%로 10년 전보다 19.1%p 높아졌다.
청년 절반 이상은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다. 이 비율은 2018년 46.4%, 2020년 50.5%, 작년 53.5% 등으로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자신과 부모와의 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청년과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만족한다고 한 청년은 '결혼 후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응답한 비중이 각각 57.6%, 57.1%로 전체 청년 집단(46.5%)보다 높았다.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4.1%로 10년 전보다 11%P 상승했다. 비혼 출산에 동의하는 청년 비중은 10년 전보다 9.8%P 올라 지난해 39.6%를 기록했다.
입양 의사가 있는 청년 비중은 31.5%로 10년 전보다 20.5%P 감소했다. 입양하고 싶지 않은 이유는 '입양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43.1%), '친자녀처럼 양육할 수 있을지 걱정돼서'(37.6%) 등이었다.
국제결혼에 대해서는 청년의 83.3%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10년 전보다 긍정 비율이 9.5%P 높아졌다.
한편 자식이 부모를 부양해야 할 의무가 없다는 인식도 강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가족이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20.6%로 10년 전보다 12.6%P 줄었다. 60.7%는 가족·사회·정부가 함께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고, 15%는 부모님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봤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성호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