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대격변'... 노선 전체 변경, 교통 고려하여 반영·동선 효율화 한다

서울시가 20년 만에 획기적인 버스 노선 체계 개편을 추진한다. 2004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후 처음으로 시도되는 대규모 개편으로, 변화하는 도시 환경과 교통 수요에 맞춰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서울시는 최근 '서울 시내버스 노선 체계 전면 개편'이라는 제목의 용역을 발주했다.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2026년부터 새로운 노선 체계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번 개편은 단순한 노선 조정을 넘어, 서울시 전체의 교통 네트워크를 재구성하는 광범위한 작업이 될 전망이다.

개편의 핵심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하철 등 다른 대중교통 수단과 중복되는 버스 노선을 조정한다. 지난 20년간 서울시의 교통 인프라는 크게 발전했다. 지하철 9호선, 다양한 경전철, 그리고 앞으로 개통될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 새로운 교통 수단이 도입되면서 일부 구간에서는 버스와의 중복 운행으로 인한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여 전체적인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둘째, 새롭게 조성된 주거 지역의 교통 수요를 반영한 노선 배치가 이루어진다. 강동구의 고덕강일지구와 같이 최근 개발된 대규모 주거단지의 경우, 기존 노선으로는 충분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지역에 새로운 버스 노선을 배치함으로써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고, 대중교통 이용률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비효율적인 장거리 노선을 정비하고, 노선 배치의 기본 원리를 변경한다. 현재 일부 버스 노선은 과도하게 긴 거리를 운행하고 있어 운영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주요 지하철역이나 터미널 등 '교통 허브'를 중심으로 노선을 재배치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개편의 필요성에 대해 "교통 체계는 서로 연결돼 있어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것보다 원점에서 판을 짜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앞으로 개통할 교통 수단들까지 고려해 최적의 운행 시스템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