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에서 7억... 정상화되는 아파트가격? 올해 급락한 1위 도시는

세종시,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 기록
급등기 거품 꺼지며 주택시장 침체 지속
상업용 부동산도 공실률 급증, 지역 경제에 부정적 영향

세종시의 부동산 시장이 심각한 침체에 빠졌다. 2020년 한 해 동안 40% 이상 급등한 집값은 최근 4년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올해도 하락 폭이 컸다.


▲ 세종시

세종시의 집값과 전셋값은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하며, 부동산 침체가 지역경제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세종시 아파트값·전셋값,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 기록

25일 한국부동산원의 자료에 따르면, 12월 셋째 주 기준 올해 세종시 아파트값은 -6.36%, 전셋값은 -4.85%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서울의 아파트값은 4.49% 상승하며 대조를 이룬다. 세종시는 집값과 전셋값 모두 하락폭이 두드러지며, 대구(-4.76%)와 부산(-2.73%) 등 다른 지방 도시들과도 큰 차이를 보인다.

세종시, 2020년 급등기와 '천도론'으로 거품 형성

세종시는 2020년 정치권의 '행정수도 이전' 논란과 관련된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아파트값이 급등했다. 당시 아파트값은 전국 상승률 1위를 기록했지만, 그 뒤로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2022년 16.74%, 지난해 5.14%, 그리고 올해 6.36%가 추가로 떨어졌다. '천도론'에 따른 거품이 꺼지며, 고금리와 주택 시장 침체가 겹쳐 세종시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쳤다.

주택 공급과 인구 유입 둔화, 공급 과잉 우려

세종시는 최근 2년간 신규 분양이 없었지만, 이전 분양에서 발생한 입주물량이 늘어나면서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당초 2030년까지 50만 명으로 예상됐던 세종시의 인구는 현재 39만 명으로, 인구 유입이 줄어들면서 지역의 주택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올해는 약 3000명 정도의 인구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시 부동산 시장 침체, 상업용 부동산에도 영향 미쳐

세종시의 부동산 침체는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세종시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23.2%로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인 12.7%와 비교해 두 배 가까운 수치로, 상가 시장도 심각한 침체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상가 공실 문제 해결을 위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이 상가공실박람회를 열기도 했다.

세종시 부동산 시장 침체, 향후 전망은 여전히 부정적

세종시의 부동산 시장 침체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두성규 목민경제정책연구소 대표는 "세종시 아파트를 특별 분양받았던 공무원들조차 집을 팔고 있다"며 "거주 목적의 인구 유입이 줄고, 추가적인 투자수요가 들어올 여지도 적어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