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보다 더 비싸"...고등어·오징어·갈치 생산 급감…밥상물가 부담 가중

지난달 고등어 생산량 72.5% 급감, 오징어는 91% 감소
기후변화·조업일수 감소 영향…소비자가격 최대 20% 이상 상승
해수부, 비축물량 방출·할인행사로 수산물 물가안정 총력

고등어와 오징어, 갈치 등 서민들의 밥상에 자주 오르는 주요 어종의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소비자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뜩이나 치솟은 물가로 힘든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은 더욱 가중됐다.



24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고등어 생산량은 전월 대비 무려 72.5% 급감한 5608톤에 그쳤다. 이는 전년 대비 38.1%, 평년 대비 10.9% 감소한 수준이다.


고등어 산지가격은 생산량 급감 여파로 ㎏당 5937원까지 올라 전달보다 28.4% 상승했고, 소비자가격도 1만3620원으로 평년 대비 21.8%, 전년 대비 23.3% 크게 올랐다.

갈치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달 갈치 생산량은 전달보다 무려 80% 줄어든 917톤으로, 전년과 비교하면 55.6%, 평년과 비교하면 71.1%나 감소했다. 생산량 감소에 따라 갈치의 산지가격은 ㎏당 2만420원으로 전달보다 32.7% 상승했다. 소비자가격 역시 ㎏당 2만3110원을 기록하며 전월보다 9.0% 증가했다.

오징어도 생산량 감소의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달 오징어 생산량은 전달 대비 91% 감소한 194톤에 그쳤다. 이는 평년 대비로는 91.3%, 전년 대비로는 2.0% 줄어든 수치다.


생산량 급감으로 오징어의 산지가격은 ㎏당 8059원을 기록하며 전달 대비 18.3%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하면 무려 50.9%, 평년에 비해서는 70.7% 급등한 수준이다. 소비자가격도 전년보다 10.7%, 평년보다 36.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생산량 급감의 주요 원인으로 기상악화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와 기후변화 영향으로 어획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달부터 어황이 개선되면서 생산량이 점차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정부는 고등어·갈치 등 주요 수산물의 비축물량을 방출하고 다양한 할인 행사를 펼쳐 물가 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지난 19일부터 수산물 할인 행사를 진행 중이며, 오는 26일부터는 수산물 구매 시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 등 추가적인 소비자 지원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