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펭귄, 기후변화로 번식지와 먹이 줄어 생존 위기
암수 협력 번식·‘허들링’ 생존 전략도 위협받는 현실
WWF, 모니터링과 보호구역 지정 등 보전 활동 지속
4월 25일은 ‘세계 펭귄의 날’이다. 이는 남극의 황제펭귄이 겨울이 시작되기 전 북쪽으로 이동하는 시점에 맞춰 지정된 기념일로, 기후 위기와 서식지 파괴로 점점 사라져가는 펭귄 보호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정됐다.
황제펭귄은 남극을 대표하는 종으로, 현재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상 ‘준위협종(Near Threatened)’에 해당한다. 주요 위협 요인은 기후변화와 어업 활동이며, 특히 해빙이 줄어들면서 번식지와 먹이 사냥터가 사라지고 있는 점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WWF(세계자연기금)는 옥스퍼드 대학의 시민과학 프로그램인 ‘펭귄 워치’와 협력해 펭귄 개체 수와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보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해양보호구역(MPA) 지정과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 등도 병행하며 펭귄의 서식지와 먹이 자원을 보호하고 있다.
황제펭귄은 키가 약 115cm로 펭귄 중 가장 큰 종이다. 일생 동안 한 짝과 함께하며 번식과 육아를 공동으로 책임지는 특성을 지닌다. 암컷은 알을 낳은 뒤 최대 50km 떨어진 바다로 먹이를 찾으러 떠나고, 그동안 수컷은 알을 발 위에 올려 ‘육아 주머니’로 따뜻하게 품으며 약 2개월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 알을 지킨다. 이후 암컷이 돌아오면 수컷은 다시 사냥을 나가는 번갈아 가며 육아를 이어간다.
그러나 기후위기로 인해 해빙이 줄고, 그에 따라 번식지와 먹이 사냥터가 점점 사라지며 이러한 생활 패턴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 실제 일부 지역에서는 황제펭귄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이는 번식 실패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황제펭귄은 사냥에서도 뛰어난 능력을 보인다. 최대 565m까지 잠수하며 물속에서 20분 이상 머물 수 있는 세계 최고의 잠수 조류 중 하나다. 그러나 해양 생태계 변화로 주요 먹이인 크릴과 오징어가 감소하면서 이들의 생존 환경도 불안정해지고 있다.
남극의 혹한 속에서 황제펭귄이 살아남기 위해 구사하는 ‘허들링(huddling)’도 위협받고 있다. 수천 마리의 펭귄이 몸을 밀착해 체온을 유지하는 이 생존 전략은 개체 수 감소로 무리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으면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이는 곧 극한 환경에서 펭귄들이 생명을 지키기 어려워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기후위기가 가속화되는 현시점에서 황제펭귄 보호는 단지 한 종의 보전을 넘어 남극 생태계 전체를 지키는 상징적 과제가 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성호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