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설 명절을 위해 설 연휴동안 선별진료소, 감염병전담병원, 생활치료센터를 중단 없이 운영하여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치료 대응 등 빈틈없는 방역체계를 유지한다. 또한, 재택치료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모니터링 및 응급상황 이송관리를 차질없이 실시하고, 재택치료환자
정부가 코로나19 먹는 치료제의 투약 대상을 기존의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확대했다. 또 병원이나 요양시설 등에서도 먹는 치료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했고, 주말과 휴일에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시·군·구당 3~4개씩 전담약국을 추가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렇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현재 오미크론의 지역 확산이 본격화되고 있고, 위중증률이 델타보다 낮은 점을 고려해 생활치료센터 관리체계를 재택치료로 전환시키고자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19일부터 현재 재택치료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도 재
20일은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2년 되는 날이다. 지난 2020년 1월 20일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이후 어느덧 만 2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아쉽게도 코로나19에 대한 사회적 공포는 여전하다. 정부가 내걸
현대 사회의 많은 사람들은 다양한 종류의 통증을 달고 살아간다. 가벼운 통증의 경우 휴식과 진통제로 회복할 수 있지만 만성화로 진행될 경우에는 사회생활 저하와 우울증까지로 이어질 수 있어 통증을 조기에 정확히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중 '삼차신경통'은 그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은 18일 열린 범정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임상시험 지원 TF 제26차 회의에 참석,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진행 상황을 발표하며 이같이 전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현재 개발 중인 백신에 대한 신속한 검체분석 및 데이
강한 반대 여론과 법원의 판결 등 방역정책과 관련된 잡음이 커지자 결국 정부는 대형마트·영화관·보습학원·독서실·박물관 등에 적용된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17일 중대본 회의 모두
인공지능(AI) 전화를 통해 자가격리자에게 발열, 기침 등 코로나19 주요 증상에 대해 물어보고, 통화내용은 자치구 총괄 모니터링 담당자에게 실시간 제공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코로나19 자가격리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인공지능(AI) 전화 서비스인 ‘누구 케어콜(N
이스라엘 등 일부 국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을 실시 중인 가운데,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추가접종)을 짧은 간격으로 반복하는 방역 전략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유럽의약품청(EMA)의 지적이 나왔다.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을 약화
접종증명 유효기간이 2차접종(얀센은 1차접종) 후 180일까지 인정됨에 따라 지난해 7월 13일 이전에 2차접종(얀센은 1차접종)을 하고 아직까지 3차접종을 받지 않았다면 방역패스 시설 이용이 제한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일 0시 기준으로 지난 3일부터 시행된 접종
코로나19 치료에 쓰이는 길리어드의 '베클루리(성분명 렘데시비르)' 투약 대상이 산소치료가 필요한 중증 입원환자에서, 중증 또는 폐렴 환자로 확대됐다. 또한 그동안 투약 대상에서 빠진 소아 환자도 중증 또는 폐렴이 있는 입원환자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이를 사용할 수 있
최근 의료계에선 향후 2, 3주 내에 국내 방역 체계를 오미크론에 맞춰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6일 기준 국내 하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412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3주 전인 지난해 12월 16일 7619명과 비교
그동안 오미크론 확진자 대부분이 무증상이거나 경증이라고 알려졌지만, 국내에서도 오미크론 감염 사망자가 처음으로 나왔다. 오미크론이 빠르면 이달 중 국내에서도 우세종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위험성에 대한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이후 우리나라 신규 암 환자 수는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새해에는 모두가 암 걱정 없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도록 각종 암의원인 및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폐암의 원인은?폐암의 원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나선 박 총괄반장은 “유행 규모의 감소에 이어 위중증환자 등에 대한 전반적인 방역지표도 개선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4일 “재원 중 위중증 환자 수는 973명으로, 계속해서 1000명대를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