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국내 백신산업 실태조사' 결과...투자는 3314억원
이번 조사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정밀화학산업진흥회, 신용조사평가 전문기관인 한국평가데이터 등이 진행한 것으로, 백신 산업에 특화해 최초로 설문 조사를 시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바이오·IT·화학·기계 등 각계 전문가들은 그동안 여러 차례 논의를 통해 백신산업 분류체계를 마련하고 전수조사 방식으로 159개 업체를 최종 선정해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4개 분야로 구분한 백신산업은 ▲백신 완제품 ▲백신 원부자재 ▲백신 장비 ▲백신 관련 서비스(위탁생산, 위탁개발, 위탁임상, 보관수송 등) 등이다.
▲ 7월 13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SK바이오사이언스 연구소에서 연구원이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을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이번 실태조사 결과 국내 백신기업 159개는 백신 관련 서비스 35.8%, 백신 원부자재 32.1%, 백신 완제품 29.6%, 백신 장비 15.1%의 비율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백신산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은 본사 기준으로 서울(53개, 33.3%) 및 경기(51개, 32.1%) 지역에 집중됐다.
기업 규모는 중소기업 70.4%(112개사), 중견기업 26.4%(42개사), 대기업 3.1%(5개사) 순으로, 전체 제조업과 비교하면 산업 ‘허리’ 역할을 담당하는 중견기업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설립 자본 기준으로는 순수 내국자본인 내자 회사가 90%(143개), 외국 자본의 외자회사 5%(8개)였으며 외자와 내국자본 합작 회사는 5%(8개)였다.
백신산업 부문 국내 매출액은 모두 3조 4178억 원이었다. 분야별로 백신 완제품 2조 6865억 원, 백신 원부자재 865억 원, 백신 장비 694억 원, 백신 관련 서비스 6361억 원이었다. 수출액은 모두 6287억 원으로 백신 완제품 5637억 원, 백신 원부자재 1410억 원, 백신 장비 430억 원, 백신 관련 서비스 763억 원으로 조사됐다.
백신산업 부문 투자비는 연구개발비 2140억 원, 시설투자비 1174억 원 등 모두 3314억 원으로 현재 진행중이거나 향후 계획된 백신·바이오 기업들의 13조 원 이상 설비 투자 계획을 감안할 때 연도별 설비 투자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백신기업 중 백신관련 부서에 종사하는 인력은 1만 758명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직무별로는 생산직 4715명(43.8%), 연구직 2772명(25.8%), 영업·관리 등 기타직 3271명(30.4%)이었다.
한편 백신 기업들은 주요 애로사항으로 연구개발과 관련해 자금 부족(47.2%), 전문인력 부족(25.2%), 연구장비 등 인프라 부족(22.0%) 등을 꼽았다. 사업화 과정에서는 자금 부족(40.3%), 시장동향 등 관련 정보 부족(24.5%), 전문인력 부족(20.8%) 순이었다.
규제와 관련해서는 식약처 인·허가(62.3%), 임상(37.1%), 국가출하승인(28.3%), 질병청 국가예방접종 입찰제도(25.2%) 등의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정부는 6일 민관합동 백신산업 혁신포럼을 개최해 백신기업들이 궁금해하는 주요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최근 국내외 업계 동향과 통계 자료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백신·바이오산업 민간 R&D 및 투자 세액공제 지원, K-바이오·백신 펀드 지원,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저금리 자금 융자지원 사업, 해외 진출 지원 사업 등을 소개했다. 정부는 백신 산업이 향후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탄탄한 중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 규모를 키우고 단절 없는 부처별 맞춤형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백신 기업들이 산업 현장에서 체감하는 각종 인·허가 규제 등은 관계부처 합동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 기업애로사항해소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단계적·순차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해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정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