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응급센터 잡자’ 대학병원 의료인력 확보에 총력

-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사이 의료진 전쟁 현실화... “수가 지원, 경영개선 기대”
- 응급의학 의사들, 복지부 개편안에 반응은 ‘시큰둥’... “불꺼진 지방 응급실 앞으로 늘어날 것”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필수의료 지원대책에 포함된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방안을 놓고 대학병원과 중소병원의 총성없는 전쟁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대학병원들은 수가 개선을 동반한 중증응급의료센터 지정과 의료진 인력 확보를 위한 진료시스템 재검토에 들어가고 있다.


▲ 내용과 무관 ㅣ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9일 의료계에 따르면 복지부가 중증응급의료센터 확대 방침을 발표하자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사이에 총성없는 전쟁의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앞서 복지부는 1월 31일 필수의료 지원 대책을 통해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현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중증응급의료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지정 수를 40개에서 50~60개로 늘릴 예정이다.‘

특히 뇌출혈과 중증외상, 심근경색 등 급성기 치료와 사망위험이 높은 질환의 중증응급환자의 최종 치료를 이곳에서 전담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병원 중심인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응급의료센터로, 지역응급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센터로 나누어 경증과 비응급 환자 중심으로 역할을 전환할 예정이다.

이에 상당 수 대학병원들이 중증응급의료센터 지정과 이에 필요한 의료인력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에 돌입했다. 중소병원들은 응급의료인력이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으로 쏠리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대학병원들은 보건정책 방향이 결국에는 수가 개선과 직결된다는 것을 수년 간 직접 목격해왔다.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운영 중인 수도권 대학병원장은 “중증응급의료센터에 대한 구체적인 수가 내용은 빠져있지만, 필수의료 강화 차원에서 경영적 이익이 크다고 본다”며 “역할과 기능의 확대에 따라 응급의학 전문의와 함께 뇌출혈과 심근경색 전문의가 지금보다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개편방안에 부합한 중증응급 시스템과 의료인력 재검토가 꼭 필요하다. 연재 의료인력으로 중증응급환자의 최종 치료를 전담하기에는 부족하다. 응급의료인력 충원은 지금도 쉬운일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전문의 배출을 앞두고 지역 대학병원도 발 빠른 움직임에 나섰다. 익명을 요구한 지방대병원장은 "충분한 응급의료인력 확보 중요성을 보직 교수들에게 전달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중증응급의료센터로 명칭을 바꿀 뿐 아니라 기능과 역할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그는 다만, "중증응급의료센터와 의료진에 대한 충분한 지원이 전제돼야 한다. 지방병원 응급실 역할 분담과 지원방안도 병행해야 한다. 의료진 업무 로딩으로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하는 개원 등 이탈하는 상황이 지속되면 복지부가 기대한 중증응급의료센터 역할과 지속성은 요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소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봉직의사들은 복지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기관의 명칭 변경과 기능 축소는 응급환자 감소와 병원 경영악화로 이어져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존재이유가 모호해진다는 의미다.

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한림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은 "응급의료 개편방안을 보고 복지부가 성과에 집요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중중응급의료센터를 늘리고 역할과 지원을 확대하는 것은 더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개편방안에 대한 긴급 설문을 진행 중으로 회원(응급의학과 전문의) 80% 정도가 부정적이다. 응급의료센터와 24시간 진료센터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경증환자 치료만 한다면 누가 남아 있겠느냐"고 반문하고 "대학병원 채용이 시작되면 불 꺼진 지방병원 응급실이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올해 2월 현재, 권역응급의료센터 40개소를 비롯해 지역응급의료센터 131개소, 지역응급의료기관 239개소 등 전국 410개 응급의료기관이 운영 중인 상황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