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국민연금…이대로 가면 90년대생 이후로는 못 받을수도

- 급속한 고령화 속도에 반해 한국의 공·사적연금은 노후소득보장 기능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 국민연금 재정수지는 2039년 적자로 전환, 적립금은 2055년 소진될 전망

최근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의 빠른 고령화 속도와 노인빈곤 문제, 국민연금 고갈 우려 등을 고려할 때 국민연금 개혁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재의 국민연금 체계가 유지될 경우, 오는 2055년 국민연금 수령 자격이 생기는 1990년생부터는 국민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 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고령인구 비중 세계 1위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경연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 및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노인 빈곤율(66세 이상 인구 중 가처분소득이 전체 인구 중위 소득의 50% 이하인 사람의 비율)은 2020년 기준 40.4%로 조사 대상인 OECD 37개국 중 1위였다고 밝혔다.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이는 G5 국가 평균(14.4%)과 비교하여 볼 때 약 3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심각성이 드러났다. G5 국가의 노인 빈곤율은 미국(23.0%), 일본(20.0%), 영국(15.5%), 독일(9.1%), 프랑스(4.4%) 순으로 우리나라와 극명한 차이가 드러났다.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022년 기준 17.3%로 G5 국가들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2025년에는 20.3%로 미국(18.9%)을 제치고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45년에는 37.0%로 세계 1위인 일본(36.8%)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했다.


◆ 직면한 노인 빈곤 문제

한경연은 노인들의 경제적 곤궁이 심각한 상황에서 고령화마저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어 ‘노인 빈곤’ 문제가 앞으로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급속한 고령화 속도에 반해 한국의 공·사적연금은 노후소득보장 기능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노후생활 주요 소득원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국민연금·기초연금 등 공적이전소득 비중(25.9%)이 G5 국가 평균(56.1%)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 사적연금·자본소득과 같은 사적이전소득 등(22.1%)의 공적연금 보완기능도 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한국은 G5 국가들과 달리 노후소득의 절반 이상(52.0%)을 근로소득에 의지하고 있었다.

은퇴 전 평균소득 대비 연금지급액 수준을 의미하는 공·사적연금 소득대체율을 봐도, 한국은 2020년 기준 35.4%로, G5 국가 평균(54.9%)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덜 내고 더 빨리 받는’ 형태의 공적연금
한국의 공적연금 제도는 G5 국가들에 비해 ‘덜 내고 더 빨리 받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다.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국의 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현행 62세에서 2033년 65세로 상향 조정할 예정이지만, G5 국가(현행 65~67세 → 67~75세 상향 예정)들에 비해선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또한 한국의 보험료율은 9.0%로 G5 국가 평균(20.2%)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었고,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기본연금액(완전연금)에 필요한 가입기간은 20년으로 G5 국가 평균(31.6년)보다 10년 이상 적었다.

◆ 사적연금 제도도 상대적으로 미흡해
사적연금 제도도 한국은 G5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으로 드러났다. 15~64세 인구 중 사적연금 가입자의 비율은 한국이 17.0%로, G5 국가 평균(55.4%)를 하회했다.


한경연 측은 "낮은 세제지원율로 사적연금에 대한 유인이 부족한 점이 가입률이 낮은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사적연금 세제지원율은 19.7%로, G5 국가 평균인 29.0%보다 저조했다.

한경연은 우리나라 공적연금의 재정안정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가운데, 연금개혁이 당장 이뤄지지 않는다면 미래 세대에 막대한 세금 부담이 전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 위기의 국민연금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국민연금 재정수지(수입-지출)는 2039년 적자로 전환되고 적립금은 2055년 소진될 전망이다. 또한 국민연금 가입자 100명 당 부양해야 할 수급자 수는 2020년 19.4명에서 2050년 93.1명으로 약 5배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경연은 "현재의 국민연금 체계를 유지할 경우 2055년 국민연금 수령 자격이 생기는 1990년생부터 국민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게 될 수 있다"며 "만일 국민연금을 계속 지급하려면 보험료율 급등으로 미래 세대가 과도한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고 우려했다.


◆ 외국의 경우는 어떻게?
한편, G5국가들은 지속적인 연금개혁을 통해 노후소득기반 확충을 도모했다. 공적연금 재정안정화 측면에서 G5국가들은 공통적으로 연금수급개시연령을 상향했고, 독일과 일본은 수급자 대비 가입자 비율, 인구구조 등에 따라 연금액을 자동 조정하는 장치를 도입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급여연동기준을 변경해 연금급여액 상승폭을 낮췄다. 사적연금 활성화 방안으로는 G5 국가들은 공통적으로 저소득층,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보조금 또는 세액공제를 지원하는 사적연금을 도입했고, 미국, 독일, 영국은 퇴직연금 자동가입제도를 도입해 사적연금 가입률을 제고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국민연금 제도부양비 급증과 기금 고갈 전망으로 미래 세대의 노인부양 부담이 막대할 것으로 우려되지만 연금개혁 논의는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다가올 초고령사회에서 노후소득기반 확보를 위해서는 국민연금 개혁과 세제지원 확대 등 사적연금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