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지않아 대한민국 소멸 한다”…1월부터 한국에서 일어난 심각한 일

- 1월 출생아 전년보다 7.7% 줄어
- 결혼은 1년새 11.6% 늘어 2만건

2023년 1월, 대한민국에서는 출생아 수가 2만1000명대로 급락하며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는 충격적인 통계가 발표되었다. 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합계출산율이 0.7명대 붕괴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의 출생아 수는 2만144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나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조출생률 역시 5.0명으로 전년 대비 0.3명이 감소하였다는 점에서 인구 감소의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올해 출생아 수의 추가 감소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출생아 수의 감소는 단순히 숫자의 문제를 넘어서 대한민국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인구 감소는 노동력 부족, 경제 성장률 저하, 사회 보장 체계의 불안정화 등 다양한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출생아 수의 감소는 대전과 충북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도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인구 감소 문제가 전국적인 현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인구 구조의 지속적인 변화와 수도권 집중 현상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결혼 건수는 증가하는 반면, 이혼 건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 내 인구 변화도 큰 폭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출산율 제고와 인구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정부와 사회 각계각층은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출산과 양육에 대한 국가적 지원 확대, 일과 가정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 저출산 문제에 대한 국민적 인식 개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구 감소의 원인과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인구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사회 전반의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인구 감소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