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기훈련 중 사망 사건...중대장·부중대장 '치명적 실수' 드러나

군기훈련 중 발생한 훈련병 사망 사건이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강원경찰청은 27일, 이 사건의 피의자인 중대장(대위)과 부중대장(중위)을 업무상과실치사와 직권남용가혹행위 혐의로 구속 상태에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지난달 23일, 육군 훈련소에서 발생했다. 사건 당일, 부중대장은 전날 밤 취침 점호 이후 6명의 훈련병들이 떠들었다는 내용을 중대장에게 구두 보고하고 군기훈련을 승인받았다. 이른바 '얼차려'로 알려진 이 군기훈련은 지휘관이 군기 확립을 위해 규정에 따라 장병들에게 지시하는 체력단련과 정신수양 등을 포함한다.

당일 오후 4시 26분경, 부중대장은 해당 훈련병들에게 특이한 형태의 군기훈련을 실시했다. 보급품이 완전히 지급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훈련병들의 군장에 책을 넣게 하고 소총을 휴대한 채 연병장을 두 바퀴 걷게 했다. 이는 통상적인 군기훈련 방식을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현장에 도착한 중대장은 더욱 강도 높은 훈련을 지시했다. 완전군장 상태인 훈련병들에게 연병장을 선착순으로 한 바퀴 뛰게 한 후, 팔굽혀펴기를 시켰다. 그리고 다시 뜀걸음으로 연병장을 세 바퀴 더 돌도록 명령했다. 이는 일반적인 군기훈련의 범위를 넘어선 과도한 체력 소모를 요구하는 행위였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훈련병 A씨가 쓰러졌고, 즉시 민간병원으로 후송되었다. 그러나 A씨의 상태는 악화일로를 걸어 결국 이틀 후인 25일 오후 3시경, 열사병에 의한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했다. 이는 과도한 군기훈련이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건 발생 후 육군은 28일 이 사건을 경찰에 이첩했고, 경찰은 즉시 수사에 착수했다. 중대장과 부중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를 진행했으며, 춘천지방법원은 지난 21일 이들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이번 사건은 군대 내 군기훈련의 적정성과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훈련병들의 신체 상태나 훈련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과도한 훈련을 실시한 점, 그리고 훈련 중 발생한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던 점 등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검찰 수사를 통해 사건의 상세한 경위와 책임 소재가 밝혀질 것으로 보이며, 이를 바탕으로 군대 내 훈련 문화와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군대 내 안전관리와 인권보호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질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