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익 22조4000억원 돌파, 대손비용 감소 효과 커
이자이익 증가폭 둔화에도 비이자부문 선전
금감원, 은행 위기대응 위한 손실흡수력 강화 촉구
지난해 국내 은행들이 총 59조3000억원에 이르는 이자이익을 벌어들이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금융당국은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 은행권이 이자 부문에서 꾸준히 수익을 창출하면서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14일 금융감독원은 '2024년 국내 은행 영업실적' 자료를 발표하고 지난해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이 22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고치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금융시장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은행권이 견고한 실적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0.2% 증가에 그쳐 성장률 자체는 둔화됐으나, 전체 규모는 60조원에 육박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금융감독원은 이자이익 증가율이 2022년의 5.8%와 비교하면 큰 폭으로 둔화된 점을 우려 요인으로 지적했다. 또한 국내 은행들의 순이자마진(NIM)은 2022년 4분기를 정점으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비이자이익 역시 개선세를 보였다. 지난해 국내 은행권의 비이자이익은 6조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2.9% 늘어났다. 이는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유가증권 매매 관련 이익 증가가 주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특히 유가증권을 중심으로 한 금융상품 수익성이 높아지면서, 이자 외 부문의 수익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비용 부문에서는 지난해 판매비와 관리비가 27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3.2%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대손비용은 전년도 10조원 대비 30.9%나 급감한 6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금감원은 2023년에 은행들이 대손충당금 산정 기준을 강화하며 충당금을 대폭 늘려 잡았던 영향으로 기저 효과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은행의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전년과 동일한 0.58%를 기록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80%로 전년 대비 0.08%포인트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ROE의 하락은 자본 증가 속도에 비해 수익 증가 속도가 상대적으로 둔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은행권이 직면한 리스크가 여전히 상당하다고 보고 있다. 미국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 대외 리스크가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의 부동산 및 중소기업 중심으로 신용 리스크 역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은행권이 향후 경제위기나 금융시장 혼란 속에서도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손실흡수 능력을 적극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은행의 안정적인 자금 공급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손실흡수 역량 확충을 위한 감독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라며 "은행들이 장기적인 위기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지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