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연 부회장 "연세의대 복귀자 80명 수준, 절반 복귀 주장은 과장"
"정부가 압박하면 강경대응 촉발될 것…제적 현실화 시 투쟁 불가피"
"내부 갈등 키우는 교수 발언보다 의료계 전체 머리 맞대야 해결 가능"
대한개원의협의회(대개협)가 최근 의대생들이 대거 복귀하고 있다는 보도와 관련해 "실제 복귀율은 상당히 낮으며, 정부와 일부 언론이 과장된 정보를 유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재연 대개협 부회장(대한산부인과의사회장)은 지난 23일 서울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제35차 춘계연수교육 학술세미나'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일부 보도에서 연세의대와 고려의대의 학생 복귀율이 절반가량이라는 주장을 강하게 부인했다.
김 부회장은 "사실관계를 면밀히 확인한 결과, 연세의대의 실제 복귀 학생은 1~4학년 총 720명의 재적 인원 중 80명 정도에 불과하다"며 "언론에서 보도한 것처럼 절반이 돌아왔다는 주장은 명백한 과장"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복귀한 학생들조차 실제로 학업을 지속하기보다는 등록 후 바로 입대를 위한 휴학 수순을 밟는 사례가 많다"면서 "이는 군 입대 자격 유지를 위해 형식적으로 복학을 선택한 것이지, 정부 정책에 동의하거나 사태가 해결됐다는 의미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대개협은 정부가 의대생들을 압박하거나 미등록 학생들에게 제적 등 강경한 조치를 취할 경우 의료계 전반의 강력한 대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근태 대개협 회장은 "파업과 같은 강력한 투쟁 수단은 의료계 전체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며 "다만, 정부가 의대생에 대한 제적 조치를 현실화하면 이는 투쟁의 결정적 촉발점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또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먼저 학생과 전공의들에게 진정성과 신뢰를 보여주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내부 갈등만 부추기는 일부 의대 교수들의 발언보다는 의협과 개원의, 전공의, 학생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갈등 해소를 위한 해법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대개협은 향후 미등록 의대생에 대한 제적 사태가 실제로 벌어지면 각과 의사회와의 긴밀한 논의를 통해 대응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의료계 전반의 결집과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여갈 가능성이 커지면서 향후 상황에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경희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