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과반 복귀" 발표에, 현장에선 불신…"등록만 하고 수업 불참 우려도"

연세의대, 실제 복귀율 비공개…관계자 "분위기 조성 위해 과장됐을 가능성"
고려의대도 복귀율 철저히 함구…"정부 강경대응이 복귀 걸림돌"
"등록이 복학 의미 아냐…제적 피하려는 형식적 복귀 많을 듯"

정부가 최근 의대생들의 복귀율이 절반을 넘었다며 의정갈등 해소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지만, 실제 의대 교육 현장에서는 이와 다른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의대 내부에서는 정부 발표와 달리 정확한 복귀율을 밝히지 않고 있어, 정부가 복귀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수치를 부풀렸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교육부는 지난 24일 일부 언론이 보도한 '연세의대 복귀율 50%'에 대해 "실제로 과반 이상 복귀한 것이 맞다"고 확인하며 분위기 반전을 시도했다.


또한 미등록 학생에 대한 별도의 구제책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이 같은 정부 발표에 강한 의구심을 보이고 있다.

연세의대 관계자는 "의대 학장단에서 정확한 복귀 인원을 철저히 비밀로 부치고 있어 정확한 수치는 아무도 모른다"며 "복귀율이 실제로 절반을 넘었는지, 아니면 정부와 대학이 복귀 분위기를 유도하기 위해 수치를 다소 과장한 것인지는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등록을 했다고 해서 모두 실제로 수업에 복귀할 의지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제적을 피하기 위해 등록금만 내고 형식적으로 등록을 마친 후 실제 수업에는 불참하는 학생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어 "학생들은 제적 가능성 때문에 상당한 압박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의대생들의 단일대오가 흔들릴 수 있는 상황이다"라며 "현재로서는 복귀율이 과반을 넘는지 명확히 확인하기 어렵고, 실제 복귀 분위기가 조성됐는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고려의대 역시 의대생 복귀율에 대해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고려의대 관계자는 "학교 측에서 복귀율을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복귀율이 절반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왔지만 학교 내부에서는 정확한 수치를 공개하지 않고, 분위기도 매우 신중하다"고 전했다.

특히 고려의대 관계자는 정부가 의대생들의 복귀를 오히려 방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미등록 휴학생에 대한 제적 등 강경한 조치를 내세우면서 오히려 학생들의 반감을 키웠다"며 "정부가 단순히 복귀만 권유했다면 상황이 나아졌을 텐데, 제적을 언급하면서 학생들이 반발하게 만든 측면이 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