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영 의원, 의협에 쓴소리…"대통령 탄핵 예상에도 의료계 준비안해"

의협, 탄핵 후 즉각적 입장 부재…"복지부에 선제권 넘겨"
정치권이 의료계 표심 얕잡아 봐…"집토끼 취급 우려"
의료계 내부 이견 많아…"공통된 협상전략 마련 시급"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이 최근 대통령 탄핵 이후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소극적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은 충분히 예상됐음에도, 의료계가 신속한 입장 표명에 실패해 주도권을 놓쳤다는 지적이다.


▲ 사진 - 시사저널

이 의원은 6일 서울아산병원에서 개최된 아산병원 전공의협의회와 울산의대가 공동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히며, "의료계가 탄핵 결과를 예상하고 있었다면 탄핵 직후나 최소한 다음날에는 명확한 메시지가 나왔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 탄핵 직후 복지부가 곧바로 '의료개혁 정책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의료계가 사실상 후순위로 밀려난 상황"이라며 "의협이 준비되지 않은 모습으로 주도권을 내줬다"고 평가했다.

이 의원은 그러나 의협에만 모든 책임을 돌리기 어렵다며 의료계 전반의 준비 부족 문제를 함께 지적했다. 그는 "의협뿐 아니라 각급 의사회, 교수단체, 전공의와 의대생 등 의료계 전체가 함께 고민하고 책임져야 할 부분"이라며 "사회적 사건이나 정치 변화에 의료계가 공동으로 준비한 요구안이나 협상 가이드라인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특히 의료계가 정치적으로 통일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는 점도 문제로 꼽았다. 의사들은 다른 직역단체와 달리 의료정책 외에 부동산, 교육, 세금 등 다양한 사안에 관심이 분산돼 있다는 것이다.

이 의원은 "정치권은 의사들의 관심사가 의료정책에만 있지 않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이런 현실 때문에 정치권은 의료계를 특별히 챙겨줄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정치권 입장에서는 의사들이 어차피 보수 진영을 떠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의료계에 대한 '당근'을 줄 이유가 없다고 판단한다"고 지적하며 "의료계가 정치권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면 통일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핵심 주제를 명확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다음 대선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의료계 내부에서라도 공통된 협상 목표를 정하고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주제를 선정해 협상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