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정신응급병상 실시간 공유시스템 시범 도입…서울·경기서 우선 운영

이송 지연 해소 기대…경찰·소방·의료기관 간 정보 연계 강화
현장 대응 속도·정확도 향상…전국 확대도 검토
정신응급체계 디지털 전환 첫걸음

정신응급환자의 신속한 치료와 병원 이송을 위해 의료기관의 여유 병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이 시범적으로 운영된다. 현장에서의 초기 대응 능력을 높이고, 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취지다.



보건복지부는 20일 서울·경기 지역을 대상으로 ‘정신의료기관 응급병상정보 공유시스템 구축 사업’을 시범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정신응급 상황 발생 시 대응 기관 간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전산 기반을 마련해 실효성 있는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 시스템은 경찰, 소방,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의료기관 등 정신응급 대응에 관여하는 실무자들이 병상 상황, 진료 가능 여부, 이송 적합성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의료기관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이송 시간 단축과 의료 공백 최소화도 기대된다.

사업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 수행기관으로 지정돼 운영을 맡는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정신건강 위기 상황에서의 초기 출동, 응급분류, 이송 결정, 병원 연계 등 각 단계별 대응이 더 원활하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시스템 구축은 제2차 정신건강복지 기본계획(2021~2025)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 중심의 정신응급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중점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 복지부는 향후 시범운영 결과를 분석해 전국 확대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복지부 이상원 정신건강정책관은 “정신건강 위기 대응 체계의 핵심은 정보의 신속성과 정확성”이라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현장의 실무자들이 느끼는 불편함과 보완점을 면밀히 검토해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정보공유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정신응급 상황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