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전공의 추가모집... 전국 수련병원 1만4000여 명

전국 수련병원 1만4000여 명 모집…빅6 병원 중심으로 복귀 분위기 고조
복지부, 수련 인정·군입대자 특례 등 제시…수련 정상화 기대
과거 낮은 지원률에 회의적 시각도 여전

정부에서 사직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5월 추가 모집이 본격화되면서, 실제 복귀 인원이 얼마나 될지 의료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모집 공고가 발표되자 전국 수련병원들이 일제히 접수 절차에 돌입했고, 특히 대형 수련병원들을 중심으로 수련현장 복원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보건복지부가 20일 발표한 ‘2025년도 5월 전공의 추가모집 공고’에 따르면, 이번 전형에서는 인턴 3,157명, 레지던트 1년차 3,349명, 상급년차 7,950명 등 총 1만4,456명을 모집한다. 이는 지난해 집단 사직으로 공백이 발생한 전공의 인력을 메우기 위한 조치로, 정부는 이 전형이 향후 전문의 양성체계에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수도권 주요 대형병원들도 대규모 정원을 배정받았다. 가톨릭중앙의료원은 인턴 210명, 레지던트 1년차 211명, 상급년차 577명을 모집하며, 서울대병원(인턴 152명, 레지던트 143명, 상급년차 427명), 세브란스병원(142명, 149명, 417명), 서울아산병원(126명, 125명, 312명), 삼성서울병원(95명, 108명, 271명), 고려대의료원(95명, 132명, 348명)도 각각 모집에 나섰다.

이들 병원에서는 전공의 복귀 흐름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빅6 병원 전공의는 총 393명으로, 지난해 9월(238명) 대비 약 65% 증가했다. 서울대병원이 103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성모병원 101명, 삼성서울병원 83명, 세브란스병원 60명, 서울아산병원 46명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수련병원 전체적으로는 인턴 211명, 레지던트 전 연차 총 1,461명 등 1,672명이 수련 중이며, 이는 작년 임용 대상자 1만3,531명 대비 12.4% 수준에 그친다.

수련병원들은 특히 고연차 전공의들 사이에서 복귀 움직임이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3~4년차 전공의의 경우 이번에 복귀하지 않으면 내년 전문의 시험 응시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정부도 복귀 유인을 높이기 위해 6월 1일 수련 시작도 정상 수련으로 인정하고, 군입대 예정자도 TO(정원) 보장을 받도록 특례를 마련한 상태다.

하지만 의료계 일각에서는 여전히 조심스러운 분위기도 감지된다. 지난해 하반기 수련 특례 모집 지원율은 1.4%(7645명 중 104명), 올해 상반기 입영·수련 특례도 2.2%(9220명 중 199명)에 그쳤다. 이번 추가모집도 대규모 복귀로 이어질지 확신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전공의들의 복귀 의향을 조사한 설문에서는 보다 긍정적인 흐름도 감지된다. 대학의학회를 통해 정부에 전달된 자료에 따르면 최소 200명이 즉시 복귀 의사를 표했으며,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실시한 설문에서는 2,500명이 ‘조건부 복귀’에 응답했다. 이들이 제시한 조건에는 ▲제대 후 복귀 보장 ▲35월 수련 인정 등이 포함됐다. 조건 없이 복귀하겠다는 전공의도 700800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번 추가모집과 병행해 수련환경 개선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주당 근무시간을 80시간에서 72시간으로, 연속 근무시간은 24~30시간에서 24시간으로 단축하는 시범사업이 곧 시행될 예정이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을 포함한 의료계 강경파 인사들도 정부와 논의에 참여하면서 협상 국면에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이번 추가모집이 얼마나 많은 전공의들의 실제 복귀로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정부와 의료계 모두 수련 정상화를 위한 전환점으로 삼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