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 52%·레지던트 61.2% 선발…수도권 63%·비수도권 53.5%
전공의 규모 1만305명으로 확대, 6월 대비 큰 폭 반등
소아청소년과·외과 충원 저조, 마취통증의학과 등 90% 상회
올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총 7984명이 새로 선발되면서, 전국 전공의 규모가 예년의 76% 수준까지 회복됐다. 인턴과 레지던트 충원율은 각각 52.0%, 61.2%였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63.0%, 비수도권 53.5%를 기록했다.
이번 선발 인원을 기존 수련 중인 전공의와 합산하면 전체 전공의 규모는 1만30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4년 3월 기준 임용 대상자 1만3531명과 비교했을 때 76.2%에 해당한다. 특히 지난 6월 2532명(18.7%)에 불과했던 상황에서 큰 폭의 반등이다.
연차별 회복률은 인턴 61.8%, 레지던트 80.4%였으며, 수도권은 77.2%, 비수도권은 74.3% 수준으로 나타났다.
과목별로는 정부의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 대상인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가 예년 대비 70.1% 회복에 그쳤다. 반면 마취통증의학과(92.1%), 성형외과(91.1%), 안과·영상의학과(95.3%), 피부과(92.6%) 등은 90% 이상을 기록했다. 소아청소년과, 외과, 응급의학과는 60%에 미치지 못해 충원난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부는 전공의 복귀와 수련환경 개선을 위해 수련협의체를 꾸려 대한의학회, 수련병원협의회, 전공의협의회 등과 논의를 이어왔다. 지난 8월 회의에서는 기존 복귀 전공의에 적용된 조치 기준을 유지한 채 병원별 자율모집으로 선발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사직했던 전공의 상당수가 복귀해 의료현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새롬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