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디스크 치환술 도중 환자가 악성고열증으로 사망한 사건에서, 치료제인 단트롤렌을 보유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의료진에게 과실을 물을 수 없다는 법원 판단이 항소심에서도 유지됐다.광주고법 제3민사부는 최근 A 씨 유족이 집도의 등 병원 의료진 3명을 상대로 제기한 의료 손
생후 5일이던 신생아가 병원에서 수액주사를 맞은 직후 기도가 막혀 영구적인 뇌손상을 입은 사건과 관련해, 법원이 해당 병원에 약 17억 원을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다.약 3년 전 최모 씨(41)는 둘째 딸 김민서 양(가명)을 제왕절개로 출산했다. 김양은 태어날 당
광주지역 한방병원 대표원장이 170억 원대 차용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가운데, 검찰이 징역 7년의 중형을 구형했다. ▲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기사와 관련 없음광주지법 제12형사부(재판장 박재성)는 23일, 청연한방병원 대표원장 A씨에 대한 특정경제범죄가중처
임신 36주 차에 달한 태아를 제왕절개로 출산시킨 뒤 냉동고에 넣어 살해한 혐의로 병원장과 의사가 구속 기소됐다. ▲ 기사와 무관한 이미지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는 살인·의료법 위반·허위진단서 작성 및 행사 등 혐의로 80대 의사 윤모 씨를 구속 기소하고, 수술을 집도한
피부 이식술을 받은 환자가 감염 등 합병증으로 얼굴에 피부 반흔과 괴사, 홍반이 발생했다며 병원과 의료진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법원이 의료진의 과실을 인정하지 않고 청구를 기각했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판사 이유빈)은 환자 A씨가 학교
자궁내막소파술을 받은 50대 여성이 수술 후 장천공과 복막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겪고 병원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사건에서, 법원이 병원의 과실을 인정하고 약 2,300만 원의 배상 판결을 내렸다. 법원은 시술 전 자궁내강 상태를 충분히 확인하지 않았고, 시술
서울중앙지방법원이 제약사로부터 주식을 받은 뒤 임상시험에 참여한 의과대학 교수 2인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청탁이나 고의적인 정보 누락이 있었다는 검찰 측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4부는 지난 7월 4일, 업무방해 및 배임수재
서울북부지방법원(판사 이종민)은 지난달 24일, 서울 양천구 소재 B한방병원에서 입원 중 낙상으로 허리 골절을 입었다며 약 6200만원 규모의 치료비 및 위자료 손해배상을 청구한 환자 A씨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다.A씨는 2020년 6월 초 다른 병원에서 늑골 골절 치료
대구지방법원이 뇌경색 치료 과정에서 희귀한 피부질환인 스티븐존슨증후군이 발병해 사망에 이른 환자의 유가족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했다. 재판부는 의료진이 치료 과정에서 과실 없이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고 판단했다.환자 A씨는 2021년 7월 초, 요양원에서 갑작스럽
서울행정법원이 근감소증 진단에 활용되는 신의료기술에 대해 별도의 건강보험 수가를 인정하지 않은 보건복지부의 고시가 위법하다고 판단했다. 이번 판결은 진료 현장에서 의료기관이 환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의료행위 범위를 점차 축소해온 정부 정책에 제동을 거는 의미 있는 결정
부산고등법원이 대학병원 소속 마취통증의학과 의사의 과실을 인정하고, 내시경 레이저 감압술 시술 후 심각한 합병증인 마미증후군에 걸린 환자에게 5억 2000만원에 달하는 손해배상을 명령했다. 1심 판결을 유지하면서도 배상액은 원금과 이자를 포함해 크게 늘어난 결과다. 의
울산지방법원이 물리치료 중 환자에게 신경 손상을 입힌 정형외과 의원 원장에게 의료과실을 인정하고 약 1470만 원의 손해배상을 명령했다. 재판부는 치료 강도 조절과 환자 상태 확인에 관한 의료진의 주의의무 위반을 주요 책임으로 판단했다.사건의 당사자인 A씨(60대 여성
혈압 강하용 약제의 조성물 특허와 관련한 청구범위 정정의 적법성을 다퉈온 사건에서 대법원이 원심 판결을 뒤집고 사건을 특허법원으로 돌려보냈다. 이번 결정은 특허 청구범위 해석 기준과 정정 요건에 대한 법리를 구체화하면서, 의약 분야에서 용량 표기의 기술적 의미가 특허
서울 강남구에서 성형외과를 운영하는 A씨가 사전 심의 없이 SNS에 의료광고를 게시했다가 강남구 보건소로부터 경고 처분을 받은 뒤 이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이번 판결은 인터넷과 SNS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한 의료광고 규제와 의
히알루론산을 주성분으로 한 드레싱 제품의 건강보험 급여 분류와 상한금액 결정에 대해, 법원이 보건복지부의 손을 들어줬다. 제조사가 건강보험 기준에 문제를 제기했지만, 1심과 항소심 모두에서 보건복지부의 행정 판단을 존중하는 결론이 내려졌다.이번 소송은 한 드레싱 제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