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에 의료계 내 충돌... 우봉식 “내부 선거용” 비판에 내과醫 “사과해”

- 서울시의사회, 내과의사회 등 의료단체들 연대해 비대면 진료 제도화 중단 요구
- 우봉식 소장 “의협 회장자리가 좋긴 좋은가봐, 내부 선거용” 비판
- 내과의사회, 의협에 항의서 제출... “명예훼손, 공식 사과하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 한시적으로 허용됐던 비대면 진료의 정식 도입에 대해 정치·의료 분야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 우봉식 연구소장의 날선 비판에 대한내과의사회가 받아치면서 충돌했다. 최근 서울시의사회와 서울시내과의사회가 서울시약사회와 함께 비대면 진료 제도화에 반대한다는 공동 행동에 나선 것이 계기가 됐다.



우 소장은 서울시 3개 의약단체들의 공동 행동에 대해 ‘내부 선거용’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이에 내과의사회가 반발하며 의협 이필수 회장에게 항의문을 제출하기도 했다.

서울시의사회와 서울시내과의사회, 서울시약사회는 지난 21일 비대면 진료와 약 배달 제도화 추진을 중단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에 우 소장은 개인 SNS를 통해 “의협 회장 자리가 좋긴 좋은가보다”라며 이해할 수 없는 행보라고 비판했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은 차기 의협 회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우 소장은 이 글에서 “내과가 반대하는 것은 환자가 대면으로 와서 검사했을 때 돈을 더 많이 벌지만 비대면으로 진료를 보면 상대적으로 수입이 적어지기 때문에 반대하는 것이라고 이해는 된다”며 “하지만 서울시의사회는 지난해 원격의료 연구회에서 열심히 군불 때더니 갑자기 반대한다”고 했다.

우봉식 대한의사협회 연구소장은 “2020년 2월 비대면 진료가 한시적으로 허용된 이후 2022년 6월까지 2년 4개월동안 총 1,500만 여건의 비대면 진료로 약 3,900억 원의 수입이 났다”며 “건수를 분석해보면 의원급이 약 1,400만 여건에 육박해 87.9%를 차지했고, 병원급(6.2%), 종합병원(4.0%), 상급종합병원(1.9%)순으로 나타났다”고 현 실태를 분석했다.

이어 “전체 외래 청구건수에서 비대면 진료는 2020년 0.21%, 2021년 0.25%, 2022년 3.01%(상반기까지, 예상치)에 불과하다”면서 “2021년 기준으로 일본의 경우, 전체 외래 진료건수의 4.1%가 비대면 진료이고, 영국의 경우에는 38.2%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가지 못한 채 총진료 건수의 1%도 되지 않는 비대면 진료를 향해 근거가 부족한 논리들로 반대하고 있다”며 “의사들의 목소리를 마치 개혁에 반대하는 노조처럼 보이게 하고 있는데, 그것이 과연 국민 건강과 의료계 발전에 도움이 되겠느냐”고 물었다.

또 “오는 4월이면 코로나 팬데믹 종료가 확실시 되는 상황 속에서 정치권에서 비대면 진료의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 의원급 중심으로 비대면진료를 하겠다고 논의하고 있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며 “그동안 코로나19로 재정악화에 시달리는 의원급 병원들만 정치권·의료계 고래 싸움에 새우등이 터지는 셈”이라고 토로했다.

우 소장의 글에 내과의사회는 ‘명예훼손’을 언급하며 강하게 불만을 표시했다. 내과의사회 원격의료 대응 TF는 지난 22일 오후 긴급 회의를 열고 우 소장에게 공식 사과를 요구하기로 했다. 사과하지 않으면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필수 회장에게 항의 공문도 발송했다. 이정용 서울시내과의사회장이 내과의사회 원격의료 대응 TF 위원장을 맡고 있다.

내과의사회는 23일 “우 소장의 실언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성명서도 발표했다. 이어 “내과 의사들이 비대면 진료를 반대하는 이유가 대면 진료를 유지해야 환자들에게 검사시켜 돈을 번다는 황당무계하고 명예를 실추시키는 발언을 한 것”이라며 “감정적으로 비난하며 충동적으로 욕보이는 언행에 대해 반드시 책임져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3년 동안 시행된 한시적 비대면 진료는 말 그대로 감염병 범유행과 같은 국가 위기 상황에 재난 극복을 위해 시행된 것이지 청구 건수가 많다고 전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 시기에 이뤄진 비대면 진료가 진정으로 국민들에게 도움이 됐는지, 위험에 빠뜨리지는 않았는지 확실한 검증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내과의사회는 “우 소장의 발언을 다시 읽어봐도 국민 건강과 안전보다는 플랫폼 존립, 국민 시선과 같은 체면을 더 중요시한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며 “이런 견해를 가졌는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의사단체의 정책을 연구하는 자리의 수장으로 일할 수 있는지 그 자격이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이런 내과의사회의 반발과 대응에 우 소장은 “의사 사회도 걸핏하면 고소 고발하는 사법과잉 대한민국을 닮아가나 보다”며 씁쓸해 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