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유튜버들의 엄청난 수익에 현혹되어 회사 월급에 회의감을 느낀 직장인들이 유튜버 전향을 꿈꾸고 있지만 실제 상당수의 유튜버들의 현실은 녹록치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수입을 신고한 상당수의 유튜버가 연 수입 40만 원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들의 평균 연봉은 2500만 원 수준이었지만, 상위 1%의 평균 연봉이 7억 원에 달하는 것에 비해 50% 이상은 40만 원 수준에 그쳤다.
7일 국세청으로부터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제출 받은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 등) 수입 금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인원은 3만 4219명이었다. 2776명에 불과했던 2019년에 비교하면 2년 사이 12.3배 늘어난 셈이다.
1인 미디어 창작자에는 유튜버, 인터넷 방송(BJ) 등 인터넷과 모바일 기반 미디어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공유해 수익을 창출하는 이들이 포함된다.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난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 수에 비해 수익은 2년 전과 비교해 오히려 줄어들었다. 전체 수입안 8590억 원으로 1인 평균으로 계산하면 약 2500만 원 수준이었다. 3200만 원이었던 2019년과 비교해 약 700만 원이 줄어든 셈이다. 특히 수입 하위 50% 그룹의 연 평균 수입은 40만 원에 그쳐 2019년의 100만 원의 40% 수준이었다.
다만 상위 1%에 해당하는 342명의 연간 수입은 늘어 극심한 양극화를 보여줬다. 이들의 1인 평균 수입은 7억 1300만 원으로 2019년(27명) 상위 1%의 평균 수입인 6억 7100만 원보다 6.3% 늘어났다. 상위 1%의 총 수입은 2439억 원으로 전체(8589억 원)의 28%를 차지했다.
양격숙 의원은 상위 1%의 수익은 실제로 이보다 더 많을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화면에 계좌번호를 공개하며 후원을 받거나 광고임을 알리지 않고 행하는 속칭 ‘뒷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는 등 과세 사각지대의 존재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위 1%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유투버들을은 최저 생활비에도 한참 못미치는 수익을 올리고 있다. 그렇다보니 유튜브에 도전한지 얼마 되지 않아 포기하고 다시 구직활동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오히려 고가의 카메라 장비, 녹음 장비를 구매했다 ‘헛돈’만 날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직장을 그만두고 유튜버 생활을 2년여간 하다 결국 포기하고 새로운 직장을 구하고 있는 A씨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지만 수입은 최저 생활비 수준에도 못 미쳤다”며 “상위 몇 프로의 사람들만 돈을 버는 구조다. 불리하게 잡혀있는 수익 배분 구조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유튜브에선 구독자 1000명과 지난 1년간 콘텐츠 시청 기간이 4000시간을 충족해야 창작자과 광고 수익을 받을 수 있는데, 이 수익도 45%를 유튜브 측의 몫으로 책정되어 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유정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