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권 안팎에서는 손해율 상승을 부추긴 금융당국의 땜질식 대책이 사태를 키웠다고 비판
- 의료수가 등 근본적인 보험금 누수를 관리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손해보험사 실손보험 손실액은 1조969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추세라면 연말까지 손실액은 3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이에 보험사들은 실손보험 적자를 이유로 보험료를 인상하면서 1·2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를 중심으로 보험료가 최대 3배가량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율 상승을 막을 수 있는 비급여 의료수가 정비에 땜질식 처방이 계속되면서 보험료 상승을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특히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내년도 실손보험료 인상을 위해 움직일 것으로 보여 3000만명 이상이 가입한 '제2의 건강보험(실손보험)'에 대한 국민 부담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9일 보험업계의 최근 10년간 실손보험 인상률을 분석한 결과 보험사들은 보험료를 6번에 걸쳐 10~30%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사들은 지난 2011년 6월 실손보험 보험료를 평균 20~30% 인상했다. 이후에도 보험사는 2013년 4월 10%, 2015년 1월 평균 12~19%(보험사별), 2016년 1월 18~27%(보험사별), 2018년 9월 6~12%(1·2세대), 2021년 1월 10~17%(1·2세대)가량 보험료를 올렸다. 1·2세대 실손보험을 보유한 가입자의 경우 10년간 6번이나 보험료가 인상된 셈이다. 여기에 보험사들은 내년엔 20%까지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6번의 보험료 인상을 감안하면 2011년 초 보험료 2만1970원을 냈던 가입자의 올해 보험료는 5만6984원+자연증가분3500원+위험증가분1520원 등 6만2004원에 달한다. 이는 10년 전보다 3배가량 많은 액수다.
보험사들이 매년 실손보험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데는 치솟는 손해율 때문이다. 2009년 89%였던 실손보험 손해율은 2010년 103.2%로 처음으로 100%를 넘겼다. 보험사의 실손보험 손해율은 2018년 121.8%, 2019년 134.6%, 지난해 130.5%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올해 3분기 기준 손해율은 131%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받는 보험료 대비 지출한 보험금의 비율로, 100%를 넘으면 보험사가 받는 돈보다 지출한 돈이 더 많다는 뜻이다.
손해율 상승으로 보험사의 실손보험 적자 폭도 매년 확대되고 있다. 보험사의 실손보험 손실 규모는 2019년 2조3546억원, 2020년 2조3695억원에 달했다. 올해는 9월 말까지 2조9000억원을 기록해 올해 적자액은 역대 최대인 3조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금융권 안팎에서는 손해율 상승을 부추긴 금융당국의 땜질식 대책이 사태를 키웠다고 비판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보건당국과 함께 보험금 누수의 원인인 의료수가 통제 방안을 내놓지 못한 채 가입자의 보험금 지급을 제한하는 3세대(2017년 4월~2021년 6월)와 4세대(2021년 7월~) 등 신규 상품 출시에만 매달렸기 때문이다.
문제는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또다시 내년도 실손보험료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공사보험협의체와 금융당국은 이달 내에 회의를 열고 실손보험료 인상을 결정할 예정이다. 보험사들은 손해율 악화 등을 이유로 20% 이상의 보험료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에도 보험사들은 21% 이상의 보험료 인상을 요구해 회사별로 10~12% 보험료 인상에 성공한 만큼 내년에도 10%대의 보험료 인상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가 10여 년 전 실손보험을 제2의 건강보험으로 구축하겠다며 보험사의 실손보험 판매를 장려했지만 이후 의료수가 등 근본적인 보험금 누수를 관리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며 "그 결과 3800만명이 가입한 실손보험이 오히려 국민들에게 보험료 폭탄으로 돌아가게 됐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기성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