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들의 경영 위기...3개월 내 파산 가능성 증가, 임금 체불 우려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촉발된 의료계 위기, 대학병원 경영난 심화
병상 가동률 급감과 일일 적자 확대, 대학병원의 재정 압박 가중
정부와 의료계 대화 필요성 절실, 의료 체계 붕괴 방지를 위한 협력 요구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 사태가 한 달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학병원들이 겪고 있는 경영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이는 오는 25일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교수단의 사직 움직임에 힘입어, 대학병원들의 ‘줄도산’이 현실화될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대학병원의 파산은 단순히 한 기관의 문제를 넘어서, 국가적 차원의 의료 체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현재 대학병원들은 병상 가동률이 절반 수준으로 급감하면서, 일일 적자가 7억원에서 10억원에 달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 최대 규모 병원 중 하나인 A대학병원의 암 병동 지하 주차장이 텅 비어 있는 모습은 전공의들의 부재로 인한 경영난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영난은 진료 활동의 축소로 인해 수입이 감소하는 한편, 병원 운영에 필요한 고정비용은 변함없이 지출되어야 하는 상황 때문에 발생한다. 병원들은 운영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마이너스 통장 한도를 늘리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2~3개월이면 한계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주요 대학병원 병상 가동률을 살펴보면, 서울대병원은 약 60%, 세브란스병원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고대안암병원은 50%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러한 병상 가동률 감소는 병원 수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매출이 평소의 60% 가까이 감소한 상태다.

지방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부산대병원의 병상 가동률은 40%대로 급락했으며, 일일 적자가 평균 7억원에 달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600억원 규모의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했지만, 인건비 등 고정비용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대학병원의 이러한 경영난은 단지 재정적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병원은 본래의 역할인 연구와 교육 활동까지 소홀히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특히, 전공의들의 사직으로 인해 임상연구와 국책 연구 프로젝트가 중단되는 등 연구 활동에도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2차 병원은 상황이 다소 다르다. 대학병원에서의 환자 이동으로 인해 입원 및 수술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심뇌혈관 질환과 같은 중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전문 병원의 경우, 환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대학병원의 경영난이 해결되지 않는 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이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병원의 파산과 의료 체계의 붕괴는 단순히 한 기관의 문제를 넘어서 국민 건강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정부와 의료계의 적극적인 대화와 협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