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의 결단..."정부 결국 심판 받을 것" 대통령실 앞에서 울린 의사들의 외침

- 의료 정책 반발...의사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철회 요구
- 결집하는 의료계, 의사와 의대생,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궐기대회 개최
- 의료계, 정책 책임자 문책과 정부 정책 재검토 촉구

의료계가 의대 정원 배정 결정에 반발하며 강력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특히 서울 지역 의사들이 이끄는 집단은 정부의 결정 다음 날, 즉 21일에 용산 대통령실 앞으로 모여 그들의 불만과 요구를 직접 호소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서울시의사회 주도 하에 열린 궐기대회에서는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결정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의지와 함께, 의대 정원 증원 정책과 필수의료 패키지의 철회, 그리고 이로 인한 책임자들에 대한 문책을 강력히 요구하는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이 자리에서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은 자신이 최근 면허정지 처분을 받았고, 다음 날 5차 소환조사를 앞두고 있다며, 정부의 의료계에 대한 탄압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 회장은 "결코 굴복하지 않겠다"며 "전국 14만 의사 회원과 2만 의대생 모두가 함께 싸우며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또한, 그는 의료계의 끈질긴 싸움이 실패할 경우, 향후 수년간 정부의 지시에 따라야 할 운명에 처할 것임을 경고하며, 모두가 단결해 투쟁할 것을 호소했다.

바른정책연구소 윤용선 원장도 "필수의료가 이미 죽었음에도 정부는 그것을 살리겠다고 주장한다"며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에 대한 모순을 지적하고, 의사들이 분노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강조했다. 서울시의사회 대의원회 정승욱 부의장은 현 정부를 40년 전 군사정권에 비유하며, 의료계 지도자들에 대한 반복적인 소환조사를 비판했다.

의대생들의 투쟁 의지도 강조됐으며, 이날 모인 의사들과 의대생들은 정부에 대한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의료계는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원점에서 재논의할 것을 요구하며, 정책으로 인해 발생한 국가적 혼란에 대한 책임자들의 문책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발표했다.


이들의 결집된 모습은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결정에 대한 강력한 반발의 표시로, 앞으로의 투쟁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