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전문의 중심병원, 수도권 쏠림 심화...지방병원 존폐 위기"

서울 대형병원 인력 확충에 지방 의료진 유출 우려...지역 의료 공백 가능성
병원 경영난 심화 전망...전문의 확충 시 인건비 부담 급증
의료계 "실현 가능성 낮아"...정부 정책과 현실 간 괴리 지적

'전문의 중심병원' 정책을 둘러싸고 의료계와 정부, 시민단체 간의 의견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정책은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함께 의료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정책 중 하나다.



의료계는 전문의 중심병원 정책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들은 이 정책이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며, 오히려 대학병원 교수의 편중 현상과 기피 현상을 심화시키고 병원의 경영난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반면, 정부와 시민단체는 이 정책이 전공의 파업으로 인해 쉽게 무너질 수 있는 현재의 취약한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고, 더 건강한 진료 체계를 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하고 있다.

현재 서울의 주요 대학병원들은 '전문의 중심병원' 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교수 충원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의료계 내에서 구인·구직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의료계는 이러한 변화가 단순히 수도권 대형병원의 인력 충원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의료계의 주요 우려 사항 중 하나는 지방 대학병원의 주요 인력이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이직하면서 지역 거점 병원의 인력난이 심화되고, 결국 이들 병원이 존폐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일부 의료계 인사들은 대학병원 인력의 이탈과 개원 증가, 그리고 지방 필수 진료과 교수들의 수도권 대형병원 이직 현상이 이미 시작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전문의 중심병원 정책이 확대될 경우 지방 대학병원 교수직 기피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많은 교수들이 명예를 중시하며 힘든 근무 환경에도 불구하고 임상 및 교육 현장을 지켜왔지만, 최근의 의료계 혼란을 계기로 이러한 분위기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병원 경영난 심화에 대한 우려도 크다. 현재도 대다수의 대학병원이 적자 상태인 상황에서 전문의를 대규모로 확충할 경우, 병원들이 이를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최근 인건비, 의료 재료비, 약제 비용 등이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의 확대로 인한 인건비 증가는 병원 재정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일부 병원 관계자들은 전문의 중심병원 정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확대나 의료수가 개편 등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의 의료 환경에서는 이 정책의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그들의 견해다.

결론적으로, '전문의 중심병원' 정책은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의료 시스템을 강화하려는 정부의 의도와, 현실적인 어려움과 부작용을 우려하는 의료계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사안이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