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비공개 회의…교육부·복지부 최종 논의
40개 의대 총장단도 의견 조율…교육 정상화 여부가 핵심 판단 기준
수업 참여율·유급 상황 여전…의정 갈등 향방 가를 중대 고비
2026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조정안이 17일 공식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교육계와 의료계는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의대생 유급과 교육 공백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발표는 단순한 모집인원 확정을 넘어, 향후 의정 갈등의 흐름을 좌우할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고위 관계자들과 비공개 회의를 열고 의대 정원 조정에 대한 막바지 논의를 진행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17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최종 확정해 발표할 방침이다.
같은 날 오후에는 전국 40개 의대를 운영 중인 대학 총장들이 온라인 회의를 통해 내년도 정원 및 교육 정상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총장단은 대학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모아 이를 정부에 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는 총장단의 의견을 반영해 발표 수위와 방식 등을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그간 의대생의 실질적인 복귀를 전제로 정원 확대 여부를 검토해 왔다. 실제로 대부분의 의대생이 이번 학기 등록을 마친 상태지만, 단순한 등록을 넘어 실질적인 수업 참여 여부가 관건이라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교육부는 “등록 자체보다, 강의와 실습에 실제 참여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의료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임상실습 불참과 강의 결손이 이어지고 있으며, 총장단과 학장단 사이에서도 유급이나 휴학 처리 여부를 둘러싼 견해 차이가 뚜렷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의대 정원 조정 논의에 신중론이 힘을 얻고 있다.
교육부는 총장단 회의 결과를 면밀히 검토한 뒤, 수업 정상화 가능성과 학생 복귀 실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정원 수를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실제 수업 참여율이 낮은 상황에서 성급한 정원 확대는 교육 질 저하와 의료 현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번 발표는 단순히 내년도 입시 일정에만 국한되지 않고, 의대 교육 체계 전반과 정부의 의료정책 방향, 그리고 의료계와의 협상구도에까지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원 조정 결과에 따라 의정 갈등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하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