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의사들 ‘장교 입대’ 대신 병 복무 선택하는 현상 확대
“의료 인력 공백 심화, 민군 의료 통합적 구조 필요”
“예비군 제도 미비 땐 위기 도래…미국은 4회 파병 사례도 있어”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최근 군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그는 젊은 의사들이 기존처럼 장교 신분으로 입대하기보다, 일반병으로 복무를 선택하는 흐름이 증가하고 있다며 군 의료에 중대한 전환점이 도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병원장은 21일 한국국방연구원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지금은 젊은 의사들이 군의관을 기피하고, 장교 신분 대신 일반병으로 복무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선택 문제가 아니라 문화가 바뀐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에는 의사가 되면 당연히 장교로 입대해 복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실제 사례로 자신이 속한 부대의 상황을 언급하며, “우리 부대에도 의사 면허를 가진 이병이 입대하고 있다. 하지만 병사 신분으로는 의료 업무를 수행할 법적 기반이 약하다. 본인들도 복무 기간만 채우고 빠져나가길 바라며 단순 업무만을 요청한다”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복무환경이 장교보다 일반병에게 더 유리하게 구성된 점도 지적했다. 이 병원장은 “일반병 복무 중 휴식이나 근무 강도 측면이 장교보다 나은 점도 많다. 이로 인해 군의관 지원을 기피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국종 병원장은 또 다른 해결책으로 예비역 제도의 활용 강화를 제안했다. 그는 “징병이 어려운 미국은 예비군 자원을 적극 활용한다. 나를 가르쳤던 교수님도 네 차례나 파병을 다녀오셨다”며 “우리도 예비역 제도가 정비되지 않으면 향후 의료 인력 공백이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함께 민간과 군 의료 간의 경계가 모호해져야 한다는 점도 역설했다. “현장에서는 일반 환자든 군인이든 치료 방식에 큰 차이가 없다”며 “단순한 민관 협력 수준이 아니라, 민간 의료의 첨단 시스템을 군 의료에 적극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국종 병원장은 최근 의무사관후보생 대상 강연에서 “바이털과(중증·필수 진료과)는 하지 말고 탈조선하라”는 직설적 발언으로 다시 한번 의료계와 군 내에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의 발언은 군의료 인력 운영의 현실과 미래에 대한 뼈아픈 진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새롬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