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30일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됐지만 여전히 많은 곳서 착용
- “동아시아 국가들, 대기 미세먼지 오염 등 코로나 이전부터 마스크 착용 익숙해”
지난해 5월 실외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것에 이어 지난달 30일부터는 대중교통과 의료기관, 복지시설 등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는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도 해제됐다. 하지만 실내는 물론 길거리에서조차 여전히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시민이 대부분이다. 왜 계속 쓰고 있는 것일까?
미국 유력 일간지 뉴욕타임스(NYT)는 1일 보도에서 “여러 아시아 국가 마스크 규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같은 국가들은 여전히 보편적으로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고 있다”며 그 이유를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집중 분석했다.
NYT는 첫 번째로 마스크 착용이 이미 습관이 되어 바꾸기 어려운 이들이 많아졌다고 분석했다. 2002년 사스와 2012년 메르스를 거치며 코로나 이전부터 마스크를 착용하던 아시아에서 팬데믹 2년 동안 마스크 착용은 이제 바꾸기 어려운 습관이 되었다는 것이다.
일본의 요코하마에서 발레를 가르치고 있는 니시무라 미즈키(24)는 “학생들에게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지 않아도 알아서 계속 마스크를 쓴다”며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뭔가가 빠졌다고 느끼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둘째로 마스크를 쓰면 화장에 많은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고, 표정관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편리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는 분석도 있다. 문화연구자 김상민씨는 “마스크는 얼굴의 아름다움을 일정 수준 유지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박감을 덜어준다”며 “민낯을 드러내는 것에 약간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은 자기 얼굴이 가려지는 것에 편안함을 느낀다”라고 말했다.
셋째로는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마스크 착용을 권장한다는 점도 하나의 요인으로 제기됐다. 한국에서는 여전히 대중교통과 의료기관, 감염취약시설 등에서는 마스크를 여전히 착용해야 하고, 고령층 등의 고위험군에게는 착용을 계속 권고하고 있다. 일본도 실내에서는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고 있다.
네 번째로는 독감과 계절성 알레르기 같은 호흡기 질환을 피하려고, 또 마스크를 쓰는 게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좋은 에티켓으로 여겨진다는 점도 계속 마스크를 쓰게 하는 이유라고 NYT는 전했다. 김상민씨는 “한국 사람들은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것을 무례하다고 여길 수 있다”며 “한국인들은 이웃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을 중요시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대기의 미세먼지 오염이 심각해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는 데 이미 익숙해져 있다는 점도 마스크를 계속 쓰는 요인으로 꼽혔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2010년대 미세먼지가 사회적 문제가 된 이후 마스크 착용 문화가 정착됐다”며 “마스크가 널리 사용됐기 때문에 한국 업체들이 코로나 팬데믹 발생 후 마스크를 빠르게 대량 생산할 수 있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새롬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