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PA·의대 정원 확대 무조건 반대만 하다간 고립 자초할수도”

- 의학회 이진우 차기회장, “우리 주장만 고집해서는 안 된다”... 고립 자초 우려
- 정지태 회장 “정부를 욕하기만 해서 아무것도 해결될 수 없다” 소통과 참여 강조

의료계 내부에서 의사들이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의료 일원화를 ‘무조건’ 반대만 한다면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의료 현안들에 대해 무조건적인 의견 주장보다 사회와 협력하며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15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의학회 학술대회 기조 강연에서 대학의학회 차기 회장으로 선출된 이진우 교수는 “의료계가 거세지는 사회적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양보할 것은 양보하면서 대의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물론 일반 국민들까지 의사의 사회적 역할 확대 및 의대 정원 증원을 원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의료계가 논의 자체를 원천 차단하고 기존의 반대, 불가 입장만 고수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외부의 의견 수렴을 일체 하지 않고 의료계 입장만 내세우면서 논리적인 일관성을 잃었다고도 지적했다. 의대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신설에 대해 ‘의사 증원은 불필요’하다고 강력히 불가 입장을 내비치면서도 전문과 인력 수급에 관해선 학회별로 ‘전문의가 부족하다’는 입장을 되풀이 하고 있는 점도 지적했다.

진료보조인력(PA) 문제도 마찬가지로 혼란을 가중시키고 의료계의 입지를 더욱 궁지로 몬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의료계는 PA도, 의사증원도 안 된다면서 모든 일은 다 의사가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런 논리 때문에 의료계가 사면초가에 몰리고 있다. 이래서는 난국을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호소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기피과 지원 ▼의료취약지 수급유인책 ▼커뮤니티케어 등 의료정책 변화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고려하면서 정부는 물론 정치권, 사회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의사 인력 수급 정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 역시 한의사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판결로 다시 부상한 의료 일원화 문제를 다시 재논의 해야 한다고 했다.

이 교수는 “한 해에만 700명이 넘는 한의사들이 배출되고 있고, 현대의 의료기기 사용 요구는 더욱 높아질 수 밖에는 없다. 국민 건강과 보건 향상의 관점에서 의료 일원화에 대해 한 번 더 논의해야 한다”며 “의사 정원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하다. 앞으로 의료계가 보다 전향적으로 입장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사회 일원으로서 의료계가 사회와 완전히 분리될 수는 없다. 오로지 우리 주장만 고집하지 않나 되돌아보게 된다”며 “지식이 많다고 지성인이 아니다. 우리가 틀렸을 수도 있다는 자세로 대화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의학회 정지태 현 회장도 개회사와 기조 연설에서 “(의료계의) 자기 일 외에 무관심한 자세가 더 큰 문제”라며 의료계가 더 적극적으로 소통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는 생존과도 직결된 문제라고도 경고했다.

정 회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진정 양상으로 접어들며 정부는 의료계와 소통하는 시늉만 하는 상태로 돌아갔다. 행정과 사법, 입법까지 모두 의사를 향해 칼을 가는 것처럼 느껴진다”면서도 “그런데도 의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않고 정부를 욕하거나 관심을 갖지 않는 의사단체들이 많다. 그러해서는 어떤 일도 해결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주요 학회가 80주년을 바라보고 있는데, 과연 100년 후까지 몇 개의 학회가 살아남아있을 수 있을지 심각히 우려되고 있다. 모두가 함께 참여하고 의료계 문제를 나눠야 한다”며 “이제 지난날을 되돌아보고 현재를 평가하여 미래를 기획할 시기다. 학술대회 주제를 ‘소통과 공감, 그리고 한 걸음 더 ’로 삼은 이유가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