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원율은 소폭 증가했으나 전공의 수 33% 줄어들어
- 내과의 “뒷감당 안 되는 잘못된 결정, 따라온 외과와 소아청소년과에도 미안한 일”
소위 ‘기피과’로 불리며 전공의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들의 고충이 늘고 있는 가운데 수련교육 기간을 단축하고 정원을 줄이는 방법으로 지원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이 몇 년전부터 시행되어 왔다. 실제로 내과는 3년제로, 비뇨의학과는 전공의 정원 감축으로 미달 사태를 벗어나며 다른 기피과인 외과와 소아청소년과도 이를 따라 수련기간을 3년으로 단축했다.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는 또 다른 문제를 양산할 뿐이었다. 수련기간 단축과 정원 감축은 전공의 수는 줄어들었음에도 전임의(펠로우)들의 업무부담을 크게 만들었다. 인력 유입도 원활하지 못해 야간과 주말에는 대학병웡인 ‘무의촌’이 되는 상황도 우려된다. ‘워라밸’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들은 이런 상황을 피부로 겪으며 선배의사들처럼 일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위 상황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진료과목이 가장 먼저 3년제 단축을 택한 내과이다. 15일 더케이호텔서울에서 열린 대한의학회 학술대회 ‘전공의 진원 현황과 대책’ 세션에서 대한내과학회 수련이사 김대중 교수는 3년제로 전환한 이후 내과 전공의 지원율은 상승했지만 대학 병원에서 근무할 인력은 오히려 줄어들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교수는 3년제 단축이 잘못된 결정이었다고 평가했다.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인기과’에 속했던 내과는 떨어지는 지원율 속에 700명이던 전공의 지원을 2013년부터 꾸준히 줄여왔음에도 2015년 전공의 모집에서 97.6%로 미달을 기록했다. 2016년에는 더욱 미달률이 올라 620명 모집에 618명 지원, 최종 확보율은 86.6% 그쳤다. 이에 심각한 상황임을 인지한 내과학회가 지난 2017년부터 수련기간을 4년에서 3년으로 단축했고, 이후 내과 전공의 지원은 다시 늘어 2023년 모집 기준 지원율 117%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해 김 교수는 “내과 3년제 발표 이후 전공의 지원이 다시 늘어 원상회복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 지원율만 보면 성공했다고 얘기할 수 있다”라면서도 “하지만 허점이 분명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지방 수련병원들의 경우 내과 3년제 이후에도 전공의 병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으며, 전문의 자격 취득 후 전임의 과정을 받는 젊은 의사들의 수도 줄었다. 김 교수는 “소화기내과 과정을 밟으러 들어와 시술 트레이닝 1~2년 정도 받은 뒤 분과전문의 자격시험은 보지 않은 경우도 많다”며 “한해 내과 전문의가 600명 배출되는데, 분과 전문의는 400명 정도 나온다”고 말했다.
특히 이마저도 특정 분과로 쏠리는 추세이다. 2023년 기준 내과 분과별 신규 전임의는 총 716명 중 71.5%가 소화기 내과와 신장 내과에 있었다.
김 교수는 “지도전문의보다 전공의 수가 적다. 대학 병원을 찾는 환자의 중증도는 올라가는데 일할 인력은 줄어들었다. 줄어든 인력의 공백을 제대로 채우지 못해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4년제이던 지난 2010년 내과 전공의는 총 2,800여명 수준이었지만, 3년제로 전환한 후 현재는 총 1,881명으로 약 33%가 줄어들었다.
김 교수는 “감소한 전공의 인력의 수를 전문의로 채우겠다는 것이 당초 내과학회 방침이었지만 현실화되지 못했다. 내과에 충원된 입원전담전문의는 110명이 채 되지 않는다”며 “3년제 시행 후 고년차 전공의가 저년차를 지도하는 수련 백업 시스템도 사라졌다. 이에 과도한 업무부담으로 지도전문의인 교수가 사직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내과 전문의가 된 이후 분과전임 지원 편중도 심해졌다. 소화기 내과나 신장 내과 지원은 개업을 전제로 이뤄지기 때문에 대학 병원에 필요한 인력은 감소하고 있다”며 “입원환자는 전공의가 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무의존 사태가 생긴다. 야간과 주말 전공의 당직이 줄어 이때 무의촌이 되는 심각한 상황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내과학회 수련위원회에서 13년간 일하면서 느낀 것은 3년제 결정이 잘못됐다는 것이다”라며 “뒷감당하지 못할 일을 했다. 내과를 따라 3년제를 택한 외과와 소아청소년과에도 미안한 일”이라고 고백했다.
기피과들은 내과처럼 3년제로 수련 기간을 단축하거나 비뇨의학과처럼 정원을 감축해 전공의 지원율을 끌어올리는 고육책을 쓰기도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 김경환 이사장은 “몇 년 전 심장혈관흉부외과도 3년제로 전환하자는 논의가 활발히 진행된 적 있다. 당시 절대 안된다고 했다”며 “흉부외과와 같이 전공의 지원자가 적은 과는 3년제를 하면 소멸할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대한산부인과학회 신정호 수련위원장은 “비뇨의학과가 전공의 지원율을 끌어올리는데 성공한 요인 중 하나가 엄격한 산아제한이었지만 언제든지 분만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하는 산부인과는 당직 때문에 전공의 정원을 감축하기 어렵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지훈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