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월급도 못주는' 의과대학, 고신의대만의 문제 아니다 ‘도미노 붕괴 우려’

- 줄어든 학령연구에 지방 대학들 경영난 우려 높아져... 회계 독립 운영은 법적으로 불가능
- “수입은 계속해서 줄고, 지출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상황... 어려움 계속될 것”

바닥을 치는 출생률로 인해 학령인구가 크게 줄어든 여파를 지방 대학들이 고스란히 맞고 있다. 줄어든 학령인구 마저 대부분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지방 대학 대부분들이 학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등 ‘경영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문제는 이들에 대학에 있는 의과대학들도 함께 흔들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근 고신대가 경영난에 빠지며 의과대학 운영비를 지급하지 못하고 교수 월급도 체불하는 상황에 처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고신대의 경영난은 수년 간 등록금 동결에도 부진한 신입생 유치 실적이 원인으로 꼽힌다. 2023학년도 고신대의 신입생 최종 등록률은 83.06%로 정원을 채우는 것에 실패했다. 대학본부에서 학교 내 회계경영을 총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는 결국 고신의대 기초의학교실 교직원의 임금 체불과 의대 운영비 미지급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고신의대 교수들은 정원을 채운 의대 등록금 회계를 본교와 분리해 독립해 운영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법적으로 의대만 따로 분리해 회계 운영을 할 수는 없다는 답변을 학교 측으로부터 받았다. 대학 부속병원의 일부 지원을 받을 수는 있지만 결국엔 대학의 경영난 위기가 곧 의대의 경영난 위기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지방 의대들은 고신대 파행 운영 논란에 대해 ‘남 일이 아니다’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학이 살아남지 못한다면 의대 존립도 어려워지기 때문에 인구 감소 등 변화하는 상황을 감안해 대학 체질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호남 지역 의대 A 교수는 “(우리 학교도) 10년 이상 대학의 등록금이 동결된 상황에 상대적으로 인건비, 사회적 고정비 등 지출은 크게 늘었다”며 “수입은 한정되어 있는데 지출 경비는 늘어나고 있으니 결과적으로 학생이나 학교에 대한 투자를 줄일 수 밖에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학 자체적으로 생산성을 올릴 수 있는 사업이나 기부금, 국책사업에 따른 여러 지원이 지속적으로 늘지 않는다면 학교나 학생을 위한 투자는 어려울 것”이라며 “더욱이 학령인구 자체가 크게 줄어 대학 지원율 자체가 크게 하락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지방 대학이 갖고 있는 어려움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B교수도 “대학의 경영난을 실질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의대들은 아직 고신대를 제외하곤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다만 앞으로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 궁극적으로 통찰력을 갖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사안을 바라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이어 “결국 대학 규모를 축소시킬 수 밖에 없는데, 교직원 반발 등 내부에서 갈등이 클 수 밖에 없다”며 “대학 자체가 살아남지 못하면 의대도 존립이 어려울 것이다.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지만 쉽지 않은 일”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의사나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